◎ 2020년
이때는 코로나 때문에 3월에 주가가 주우우욱~~ 빠졌다.
얼마까지 빠지나? 주가 2080원이면 시총은 460억이고 PBR은 0.72 정도였다.
8월은 또 주가가 급등했는데 별 뉴스 없었던 걸 보면 코로나 반등장에 같이 올랐던 거 같다.
지금 다시 코로나장을 보니 나는 그 좋은 기회에 되도 않는 주식 사서 으아악 ㅠㅠ 갑자기 슬프네.
두 번 다시 그런 일이 없도록 열심히 하자

◎ 2019년
2019년까지만 보자
3월, 5월, 6월 30%씩 급등락을 반복해서 당시 기사와 뉴스를 찾아봤는데
얘 별일 없었는데 그냥 올랐다 내렸다 한 듯;;;;;;;;

실적이 늘 고만고만하니 주가 변화를 뉴스에서 찾아봤는데
몇 년 치 봐도
걍 올랐다 내리는 거 같다;;;
과거에는 애널리스트 보고서가 좀 나왔는데 거기서 뭐 새로운 내용 있는지 찾아보자.
◎ 2015년
- 2014년 취급고 기준 - 온라인 검색 61%, 모바일 26%, 온라인 노출 12%
(온라인 노출이란 게 디스플레이 광고를 말하는 건가???)
- 모바일 사업부가 성장 중인 때라 2015년은 30%로 매출 비중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 내수 70%, 일본 30%. 그래서 엔화도 보네.
- 이때 카카오톡 샵검색 이야기가 나온다.
2015년 7월 기사를 보면 샵검색이 출시되었다고 나오는데 뭐냐면 카카오톡으로 대화하다가 #넣고 단어를 치면 검색 기능이 되는 거다.
2014년 다음과 카카오가 합병하고 메신저+검색 서비스를 준비한 것이다.
검색 사이트로 가지 말고 카카오 내에서 다하라는 건데 이게 생각보다 불편했나 보다.
1 샵 버튼이 이모티콘이랑 너무 가까이 붙어있어서 자꾸 잘못 눌러져서 불만이 있었고
2 내가 원하는 기사나 동영상을 상대에게 보내는 게 아니라 그렇게 검색해서 나온 결과 중 상위 랭킹 된 게 그냥 보내진다 ㅋ
3 굳이 대화하면서 뭘 검색해 볼 일이 별로 없단다
네이버가 이때 기사로 카카오 서비스 나왔어도 우리 검색 서비스 지표에 아무 상관없던데? 함
그리고 12월에는 10명 중 1.5명만 이용한다고 했다.
그러고 보면 난 한 번도 카카오에서 # 버튼 안 써 본 거 같다.
근데 이건 지금 시점에서 과거 기사를 보니 결론을 알고 있지만
저 당시에는 저 문제가 시간이 지나면 카카오톡 이용자들이 익숙해져서 활성화될 거라고 카카오는 기대한 거 같다.
갑자기 궁금해서 카카오 주가를 검색해 본다. 그나저나 3년 동안 주가가 많이 내렸네

내일부터는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더 찾아보자.
지난 이엠넷 글 ↓ ↓ ↓
2024.09.23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이엠넷 - 주가 살펴보기 3
이엠넷 - 주가 살펴보기 3
◎ 2021년 저 8970원은 2011년 코스닥 상장 이후 역사적 신고가다. 이유는 지난번 알아본 소프트 뱅크에게 이엠넷 재팬 지분 매각한 이슈 때문이다. 이때 기사 제목을 보면 '이엠넷 일본 법
todayhoney.tistory.com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엠넷 - 애널리스트 보고서 보기 3 (0) | 2024.09.26 |
---|---|
이엠넷 - 애널리스트 보고서 보기 2 (0) | 2024.09.25 |
이엠넷 - 주가 살펴보기 3 (0) | 2024.09.23 |
이엠넷 - 주가 살펴보기 2 (0) | 2024.09.22 |
이엠넷 - 주가 살펴보기 1 (0) | 202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