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에 이어 사업부별 영업이익, 순이익 알아보기

 

◎ 2023년 2Q

 

상반기 실적을 보면 또 공통 및 기타에서 뭔가 마이너스가 심하네. 디지털도 그렇고.

랄라블라도 2022년에 철수해서 끝인데 뭐가 이렇게 마이너스가 심할까?

 

2023년 1분기 2분기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보니 그래도 2022년 상반기에 비해 적자폭이 줄어든 거라고 한다.

지난 2년간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과정을 거치며 디지털 커머스 관련 투자비용이 크게 증가했고 실적이 부진했었다. 

2022년 하반기부터 수익성 위주 전략으로 바꾸면서 '새벽배송 서비스 중단, H&B 사업 철수, 프로모션 비용 절감' 등을 진행하고 있다. 그래서 2023년 상반기 이커머스를 포함한 신사업에서의 적자 규모를 빠르게 축소시켰다.

그러니까 아래 표가 전년 동기랑 비교하면 적자가 줄어든 거란다.

 

프레시몰 경우 적자가 2022년 상반기 -350억대에서 2023년 -130억 로 줄었고 
쿡캣, 어바웃펫 등 기타 사업부  2022년 상반기 -290억에서 2023년 -100억 줄었다.  

 

 

 

지난 며칠 2018년부터 사업부별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보니까 일단 수익성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은 편의점이다. 그다음이 홈쇼핑.

 

슈퍼마켓은 겨우 BEP 하는 거 같고 

개발은 실적이 일회성이 좀 있어서 왔다 갔다 하는 거 같다.

 

호텔은 기여도가 별로 없었는데 2023년 좋아지고 있어서 보긴 봐야 할 거 같다.

 

디지털과 기타부분은 적자폭 축소가 포인트이다. 

 

그래서 순서를 

1 편의점

2 디지털, 기타 적자 사업부

3 홈쇼핑

4 호텔

5 슈퍼마켓

6 개발 

 

이런 순으로 보면 될 거 같다.

 

반응형

 

편의점부터 보자.

 

그래프를 그려보니 영업이익률이 되게 낮은가 보구나 싶네.

 

 

 

영업이익률이 3% 전후다. 

영업이익률이 낮다기 보다는 매출 인식이 뭔가 다 ~~~ 잡혀서 그런 건가??? 

 

 

 

2022년은 매출이 많이 늘었는데 영업이익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2023년 상반기가 영업이익률이 제일 낮다. 

 

 

내일부터는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보면서 편의점 사업부는 어떤 구조인지 자료를 찾아봐야겠다.

 

 

 

지난 GS리테일 글 ↓ ↓ ↓  

2023.11.05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GS리테일 - 사업부별 영업이익 순이익 (2021년, 2022년 )

 

GS리테일 - 사업부별 영업이익 순이익 (2021년, 2022년 )

어제에 이어 사업부별 영업이익, 순이익 알아보기 ◎ 2021년 2021년 7월 GS리테일이 GS홈쇼핑을 흡수합병해서 이제 사업 내역에 홈쇼핑도 보인다. 공통 및 기타 순이익이 5600억이나 있다. 뭘까? 주석

todayhoney.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