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에 이어 자산 구성 알아보기

 

 

 

관계기업은 지난번 알아본 eMnet Japan.Co.,Ltd.

장부금액이 자꾸 줄어들고 있다.

 

 

 

주석에서 관계기업 내용을 보니 이런 내용도 있다. 

"연결회사는 eMnet Japan. Co., Ltd.의 주주인 SoftBank Corp.와의 주주 간 약정에 따라 eMnet Japan. Co., Ltd. 주식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처분이 제한되어 있으며, 추가적인 주식을 취득할 수 없습니다. 

또한, 회사가 eMnet Japan. Co., Ltd. 주식을 매각하고자 하는 경우 SoftBank Corp.는 우선매수권을 보유하게 되며, 주주간 약정 위반 등이 발생하는 경우 약정에 따라 SoftBank Corp.는 연결회사가 보유한 eMnet Japan. Co., Ltd. 주식을 취득하는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2024년 2Q 보고서에 따르면 

 

 

 

장부금액은 공정가치가 아니다. 장부금액은 순자산 지분율에 영업권이 90억대 반영된 숫자다.

근데 주가가 내려 공정가치가 계속 내리니 장부금액이 사용가치로 측정된 회수가능액을 초과한다고 계속 손상차손 인식 중이다. 2022년 16억, 2023년 11억 손상차손이 인식되었다. 오늘 주가가 JPY 868이니 이 정도만 유지돼도 올해는 안 되겠지?

근데 이거 계산법이 복잡하던데 확신은 못하겠다.

일단 이엠넷재팬 주가도 계속 보기는 봐야 할 듯. 연말에 손상차손 될까 봐.

 

반응형

 

 

그다음 볼 건 매출채권

 

 

 

매출채권 자체는 충당금 설정을 안 한다. 보니까 과거에 잘 현금으로 회수되었나 보다.

별로 대손상각비가 발생한 적이 없다.

 

근데.... 대행미수금은 회수가 안 된 적이 있네?

어제 대행미수금 볼 때 그걸 봤어야 했는데 안 봤네;;

 

 

이엠넷에게 매출이 되는 돈이랑 매체사에 내야 하는 돈이랑 같이 이동하니까(?) 인식 방법의 문제가 아닐까?

그러니까 못 받는 돈을 매출채권이 회수 안 된 것으로 볼 것이냐, 대행미수금이 회수 안 된 것으로 볼 것이냐 

결정 아닌가????

내가 이건 회계를 잘 몰라 전혀 엉뚱한 소리 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일단 매출채권이 대손충당금 안 쌓는다고 너무 좋아하지 말고 대행미수금의 충당금을 같이 확인하자는 소리다.

 

근데 또 보니까 그냥 '대행미수금'도 충당금 안 쌓고 

이엠넷은 '장기매출채권'이랑 '장기대행미수금'이라는 계정이 있다.

광고 회사들은 대부분 장기매출채권 없는 거 같은데 이엠넷에서만 보게 되는 계정 같다. 

그냥 못 받으면 장기 되고 그럼 당연히 충당금 쌓게 되는 거 아닌가???

그럼 그냥 매출채권과 대행미수금에 충당금 쌓으면 되지 굳이 '장기-'붙여 비유동 계정을 따로 만들었을까?

이것도 내가 회계 잘 모르고 하는 소리일 것 같다.

 

기간에 걸쳐 인식되는 광고들은 장기로 분류하는 건가? 그런 것들만 꼭 돈을 못 받게 된다는 것도 좀 이상하고....

이건 좀 더 알아봐야 할 듯

 

일단 내일은 장기매출채권과 장기대행미수금의 충당금 내역을 알아보자.

 

 

 

지난 이엠넷 글 ↓ ↓ ↓  

2024.09.17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이엠넷 - 자산 구성 알아보기 1

 

이엠넷 - 자산 구성 알아보기 1

오늘은 이엠넷 자산 구성 알아보기   자산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건 현금성 자산 435억현재 시총 560억이고 무차입인데 현금만 435억 있다. 이엠넷의 순현금 + 금융자산 숫자를 보면 늘 좋

todayhoney.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