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에 한 기업 공부' 카테고리에서는 매달 1개 기업을 정해서 20분씩 타이머를 맞춰서 그 기업에 관련된 내용을 찾아 적는다. 이렇게 시작하게 된 이유는 헬스장 다녀와서 밤 시간을 휴대폰 하면서 그냥 날리는 날이 많아서다. 뭐를 하나 정해 놓으면 잘할 거 같아서 했는데 생각보다 도움이 많이 된다. 어떤 날은 20분 타이머를 넘기고 1시간 동안 찾다가 늦게 잔 날도 있을 정도로 밤에 이렇게 하는 게 재밌다.

 

3월은 한독을 살펴봤다.

한독을 고른 이유는 재무로 스크리닝하다가 걸렸기 때문이다. 과거 밸류보다 낮은 밸류를 받길래 시작한 건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보면 볼수록 싸지 않은 거 같아서 투자는 패스하기로 한다.

 

한독을 매일 20분씩 보면서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을 번갈아 가며 <<한독약품 50년사>>를 봤다.

기업 통사를 보는 것은 도움이 된다. 왜 이기업은 이렇게 오픈이노베이션에 마음이 잘 열리는 가를 보면 처음 시작이 훽스트와의 합작사였던 이유도 있는 거 같다. 그 성공 경험이 강렬했던 거 같다. 그리고 통사를 보면 기업의 실체가 조금 더 느껴진다. 그전에는 기업이 아니라 숫자로만 보였는데 말이다.

 

한독은 매출이 꺾이지 않고 꾸준히 증가했다.

또 케토톱을 리뉴얼하면서 매출을 계속 늘려왔다. 그 외 다른 제품군도 매출 규모를 잘 유지했다.

회사 유튜브를 보면 직원분들 만족도도 높은 거 같다. <<한독약품 50년사>> 책에서 보면 노사 관계에 신경을 많이 쓰는 기업 같았다. 그런 부분은 좋아 보였다. 

 

반응형

 

다만 매출부터 시작해서 내려오는 손익계산서,

자본을 이해하기 위해 재무상태표를 보면 이 기업의 ROE에 대해 의문이 든다.

 

제넥신 등 지분법 손실은 언제 끝이 날 것인가 싶고 

순이익이 매우 들쑥날쑥이다. 아니지 '들쑥'만 있고 '날쑥'은 없다.

영업이익이 200~300억대로 나와도 순이익단으로 내려오면 지분법손실과 이자 비용 등이 많아 솜사탕처럼 숫자가 사라진다. 

 

오픈이노베이션이 장기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향후 몇 년간 숫자로 도움이 될지 잘 모르겠다.

라이선스 IN한 품목들에 대해서는 대부분 계약 상대 기업 지분 투자를 해서 그걸 오픈이노베이션이라고 하는데  성과가 나오기에 너무 먼 미래의 일이다. 그리고 각각 내용도 너무 어렵다. 자신의 능력 범위를 알아야 한다고 하는데 연구개발 분야들이 내가 이해를 잘 못하는 부분도 많다(사실 능력 범위 따지면 손댈 기업이 없는 거 같다. 소비재도 어렵더라. 나 뭐 하냐)

 

제품은 매출 규모를 잘 유지 중이기는 하나 대외적으로 당뇨약이 잘 갖춰진 제약사인 것처럼 보였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면 아직도 아마릴, 테넬리아가 메인이다. 지난 몇 년간 당뇨약의 새로운 계열 약물들이 많이 등장했는데 다른 제약사들과 달리 그런 라인업이 잘 안 갖춰진 거 같다. 너무 오래된 약들이다.

 

상품은 도입 픽 잘해서 열심히 하다가 결국 판권이 넘어간다.

한독이 잘못한 게 아니라 상대 계약 회사가 자기네들끼리 M&A하고 이래서 판권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판권 사 온 회사 전담 부서까지 만들어서 열심히 한 거 같은데 그 부서는 그럼 없어지나?

한독이 잘못해서 판권이 넘어가는 게 아니라 상대 회사의 사정 때문에 판권이 넘어간다면 더 구조적인 문제 같다.

 

신장질환 관련약들 라인업 확장하면서 심포지엄도 열고 그러는데 이거 또 이러다가 몇 년 후 판권이 넘어가는 건 아닌지 늘 걱정될 거 같다. 이래서 자사 약이 있어야 하는데 싶다. 특히 2023년에는 기존 매출 규모 상위권이던 상품 약물 대부분 판권이 넘어갔다. 물론 나간 만큼 새로 들어온 약들도 있지만 아직 보험 급여가 안 된 약도 있는데 그런 것도 한독이 다 고생해야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래도 한독인데 시총 2000억은 싼 거 아니냐 싶었는데 차입금을 보면 이 가격이 싼가? 물음표다.

내 결론은 안 싸다는 것이다. 

3세 경영이 시작되나 본데 어떻게 회사가 변할까? 지켜보자.

일단 3월 블로그에 글 쓰는 것은 여기까지 하고 주말에 한독 정리 좀 하고 마무리하는 것으로 한다.

 

 

4월에는 뭐 하지?

 

 

한독 지난 공부  ↓ ↓ ↓  

 

2023.03.30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2022년, 2021년 기사 모음

 

한독 - 2022년, 2021년 기사 모음

[2022년 기사] 2022년 기사는 대부분 유통 및 판매 계약 관련된 내용이라 지난 글들에서 다루었다. 그 내용들은 다 생략한다. ▲ 2월 한독, 오너 3세 이사회 진입 예고 경영 승계 본격화 창업주 3세

todayhoney.tistory.com

 

 

2023.03.27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 1 HL2356 제넥신과 공동 개발하고 있는 HL2356(소아 및 성인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은 hybrid Fc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신약 프로젝트로 국내ㆍ외 시험 기관에서 임상 2상

todayhoney.tistory.com

 

 

2023.03.26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 한독 연구개발조직 R&D 조직은 R&D Center와 임상연구실, PV/CQ실, RA실 및 의학부로 구성되어 있고, ​ 의학부는 의학1실, 의학2실, MIR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R&D Center내의 신약개발연구실은

todayhoney.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