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별 손익 

굳이 지역별 손익 안 나누어서 생각해도 되겠다. 거의 다 국내다.

 

 

그리고 매출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단일 고객은 없다. 

 


◎ 매출채권

 

매출 대비 18% 정도로 다른 제약사보다는 조금 많은 편에 속하지만

대손충당금 설정률도 낮은 편이고

과거에 크게 문제 된 것이 없었던 거 같다.

 

연체된 것도 거의 없는 듯.

 

 

 

 

 


◎ 재고자산

재고자산이 많이 늘었다. 매출이 증가하면서 늘어난 것 같다.

 

 

 

 

 


◎ 금융자산

 

2021년만 해도 금융자산이 321억 정도였는데

2022년 3Q 2249억까지 늘었다.

 

일단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은 2021년이나 2022년 3Q이나 비상장 주식 더클래식씨씨로 387만 원 정도 소액이라 넘어간다.

더클래식씨씨은 제주도에 있는 퍼블릭 골프장인 듯.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내역은 보면 그 우주 어쩌고 하는 Axiom Space에 143억, 그리고 전자단기사채 등에 1711억이 늘어서 숫자가 많이 증가한 것 처럼 보인다.

현금으로 가지고 있던 1700억 원을 금리가 오르니 금융자산으로 이동시킨 듯.

 

 

 

보령 - 연구개발 진행 내역, 연구개발 완료 실적, 조직도, 주요 주주, 보령바이오파마

◎ 연구개발 진행 총괄표 ◎ 연구개발 완료 실적 (제네릭 내용은 생략) ◎ 조직도 도대체 어디서 우주 사업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이냐 Global Investment Center 저기서 고민 중인 걸까.... ◎ 주요 주주

todayhoney.tistory.com

 

2022.12.23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손익계산서, 증자 감자 현황, 연결대상 종속기업

 

보령 - 손익계산서, 증자 감자 현황, 연결대상 종속기업

◎ 손익계산서 보령 실적을 보면 지난 6년간 매출이 한 번 도 안 꺾였다. 영업이익도 증가했다. 순이익은 좀 들쑥 날쑥 하긴 했다. 손익계산서로 보면 좋아 보인다. ​ 그런데 재무상태표로 오면

todayhoney.tistory.com

2022.12.24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연결대상 종속회사, 제품 상품 매출 비중

 

보령 - 연결대상 종속회사, 제품 상품 매출 비중

◎ 어제에 이어 연결대상 종속회사 조금 더 알아보자. 2022.12.23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손익계산서, 증자 감자 현황, 연결대상 종속기업 보령 - 손익계산서, 증자 감자 현황, 연결대상 종

todayhoney.tistory.com

 

 

오늘 20분 끝 

 어제에 이어 연결대상 종속회사 조금 더 알아보자.

2022.12.23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손익계산서, 증자 감자 현황, 연결대상 종속기업

 

보령 - 손익계산서, 증자 감자 현황, 연결대상 종속기업

◎ 손익계산서 보령 실적을 보면 지난 6년간 매출이 한 번 도 안 꺾였다. 영업이익도 증가했다. 순이익은 좀 들쑥 날쑥 하긴 했다. 손익계산서로 보면 좋아 보인다. ​ 그런데 재무상태표로 오면

todayhoney.tistory.com

 

 

 

 

보령컨슈머헬스케어

보령에이엔디메디컬

보령디헬스커버리 합자조합 1호

리큐온

BORYUNG HONGKONG Ltd.

북경보령의약과기유한공사

Boryung Inc.

HAYAN I, L.P.

반응형

 

1. 보령컨슈머헬스케어

건강보조식품,의료기기(가정용,병원용),기능성화장품,의약품,가정용전기용품 도소매/무역(의료기기)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겔포스엠, 용각산, 보령 우황청심원, 로토 안약 시리즈 등이 나온다. 

보령 일반약은 여기서 하는 건가? 

2. 보령에이엔디메디컬

보령제약그룹의 의료기기 전문 유통회사로 2012년에 설립된 회사다. 

주요 취급 품목으로는 일본 AND 사의 병원용 의료기기 및 가정용 헬스케어 기기 등이 있다.

3. 보령디헬스커버리 합자조합 1호

보령이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스타트업 지원하기 위해 만든 펀드.

디헬스커버리(D:HealthCovery)는 'Digital Healthcare Discovery'의 합성어

홈페이지를 보니 포트폴리오가 다음과 같다.

 

출처: 보령 디헬스커버리 홈페이지

 

4. 리큐온

AI 약물 발굴 플랫폼 기반, 차세대 표적항암제를 연구하는 신약개발 전문 기업

항암신약 R&D 역량 강화를 위해 2021년 12월 설립했었는데 기사를 보니 2022년 12월 (4분기)에 보령이 흡수합병한다네.

바이오 투심 악화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서 그런 가 보다.

여기도 나중에 IPO를 기대했나 보다.

보령도 참, 자회사 IPO 싶어 하는 꿈은 많았구나.

주요 연구개발 항목은 BR101801로 암세포의 주요 성장·조절인자 PI3K 감마(γ), PI3K 델타(δ), DNA-PK를 동시에 3중 저해하는 림프종 치료제 후보물질이었다.

5. BORYUNG HONGKONG Ltd.

투자 목적으로 출자한 법인이라고 한다.

6. 북경보령의약과기유한공사

중국 의약품 판매 목적

7. Boryung Inc.

미국 투자 및 컨설팅 회사로 소유한 미국 지사

다국적 제약 회사 및/또는 특수 제약 회사의 레거시 브랜드 인수를 담당

8. HAYAN I, L.P.

글로벌 헬스케어 투자 펀드

보령의 미국 현지법인 하얀헬스네트웍스에서 설립 운영하는 CVC(Corporate Venture Capital) 펀드로 미국 내 초기 단계 헬스케어 기업 및 혁신적인 기술에 투자를 진행

 


◎ 영업부문 정보 - 제품 상품 매출 비중

 

 

2022년 3Q 기준 제품 매출 59%, 상품 매출 40%

이제 젬자가 2022년 3Q부터 제품으로 들어왔으니 제품 매출 비중이 연간으로도 더 높아지겠다. 

(2021년 젬제 매출 비중 2% 정도) 

◎ 손익계산서

보령 실적을 보면 지난 6년간 매출이 한 번 도 안 꺾였다. 

영업이익도 증가했다. 순이익은 좀 들쑥 날쑥 하긴 했다.

손익계산서로 보면 좋아 보인다.

 

그런데 재무상태표로 오면 차입금이 늘 많다. 

그리고 중간에 유상증자도 했지 참.

그래도 일단 매출이 증가하니 공부해 볼 만해서 시작한 건데 

아직도 우주 사업이 이해가 안 간다.

 


◎ 증자 감자 현황

공시를 찾아 보니 

2016년 무상증자는 1 : 0.05011244

2017년 무상증자는 1 : 0.05066289

2020년 유상증자는 400억 조달

제3자배정증자 보령홀딩스 대상으로 

11,700원 (당시 기준주가 13000원에서 10% 할인한 가격)

반응형

 

2021년 무상증자는 1 : 0.09975401 

2021년 7월 유상증자 985억 조달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17,750원 

1주당 0.0896066443 신주 배정

2021년 7월 무상증자는 1 : 0.2000003739

 

 


◎ 연결대상 종속기업 

종속기업들의 자산 규모나 손익 규모가 작은 편이다.

보령 본사 실적만 우선 주의 깊게 봐도 될 거 같다.

 

공시 찾다 보니 20분 다 갔다.

◎ 연구개발 진행 총괄표

 

 

 

◎ 연구개발 완료 실적 (제네릭 내용은 생략)

 

 

 

 


◎ 조직도

 

 

도대체 어디서 우주 사업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이냐

Global Investment Center 저기서 고민 중인 걸까....

 

 

 


◎ 주요 주주 

 

보령홀딩스 외 5인 53.82% 

자사주 4.11% 

보령홀딩스 외 5인은 좀 더 자세히 보면 보령홀딩스가 37.10%

김은선 10.40%

메디앙스 4.43% 등이다.

보령은 창업주 김승호 그룹 회장이 있고 딸만 넷이데

첫째 딸이 위에 주주로 있는 김은선 회장. 보령제약을 물려 받았고

막내 딸은 위에 주주로 있는 메디앙스를 물려받았다.

김은선 회장의 아들이 현재 보령 대표이사인 김정균.

젊다. 1985년생이다. 

기사를 보니 원래 유정균이었는데 (아버지 성이 '유'인가보네)

경영권 승계 받고 어머니 성 '김'으로 바꾸었나 보다. 그래서 김정균

보령의 우주 사업은 오너 3세 김정균 대표이사의 신사업 확대 전략이라고 한다. 

 

반응형

 


◎ 오늘 또 기사 보니 보령바이오파마 IPO 준비하고 있었는데 M&A로 시장 매물로 나왔다고 하네.

보령바이오파마는 백신 개발 기업이다. 

보령바이오파마는 최대주주가 보령파트너스이고 지분 69% 

이 지분은 김정균 대표와 특수관계자가 100%로 지닌다고 한다.

그럼 보령이랑은 지분으로는 관계가 없나?

일단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아니고,

주석을 찾아보니 관계기업도 아니다.

타법인출자내역을 보니 보령은 보령바이오파마 지분이 없다.

다만 특수관계자로 분류되어 있다.

보령바이오파마로부터 매입하는 것이 연간 200억 대 전후로 있다.

 

 

보령 지난 글 ↓ ↓ ↓  

2022.12.21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공시 - 엑시옴 스페이스(Axiom Space Inc.)

 

보령 -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공시 - 엑시옴 스페이스(Axiom Space Inc.)

오늘 보령 공시 알람이 왔는데 한참을 쳐다봤다. 내가 공부하고 있는 그 보령 맞는지...?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 엑시옴 스페이스(Axiom Space Inc.) 자본금 108억 액시엄 스페이스는

todayhoney.tistory.com

 

2022.12.20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연구개발비, 연구개발 내역 무형자산화 (BR3003, BR1015)

 

보령 - 연구개발비, 연구개발 내역 무형자산화 (BR3003, BR1015)

연구개발비는 연건 300~400억 대 정도 사용하고 매출액 대비 6% 전후 된다. 2021년부터는 20억 대 무형자산화 한다. 금액으로 보면 2021년 BR3003 당뇨복합제 3상 임상 3상 들어가면서 29억 무형자산화 된

todayhoney.tistory.com

 

2022.12.19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판매경로, 판매방법, 연구개발 인력

 

보령 - 판매경로, 판매방법, 연구개발 인력

판매경로 ​ 1) 내수의 경우 공장→창고→병·의원, 약국→소비자 공장→창고→도매상→병·의원, 약국→소비자 ​ 2) 수출의 경우 L/C 입수→공장 출고→물품 선적→B/L 입수(선사)→수입상→ NEGO

todayhoney.tistory.com

 

오늘 보령 공시 알람이 왔는데 한참을 쳐다봤다.

내가 공부하고 있는 그 보령 맞는지...?

보령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2022.12.21)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엑시옴 스페이스(Axiom Space Inc.)

자본금 108억

액시엄 스페이스는 미국 휴스턴에 본사를 둔 세계 최초의 민간 상업용 우주정거장 기업이다. 

취득금액 649억 (USD 50,000,000)

보령의 2021년 사업보고서 자본총계 4743억 대비 13.68%에 해당하는 금액이고 

2022년 3분기 보고서 자본총계 5183억 대비 12.5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취득 후 지분율은 2.68%

현금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취득예정 일자 2022-12-30에 지급 종료 예정 

취득 목적은?

민간 상업용 우주정거장 선도 기업에 대한 투자를 바탕으로 우주 공간에서의 선제적 사업화 기반 마련

 

반응형

취득 후 소유 주식 수 및 지분비율'은 금번 USD50백만 달러 투자로 취득하게 된 주식 수 295,980주와 2022년 1월 USD10백만 달러 투자에 따라 기보유중인 전환약속어음을 합산한 지분비율입니다. 이 비율은 발행회사의 투자 진행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아 이 내용을 보니까 이미 올 1월에 취득한 게 또 있었구나. 

3분기 보고서 주석을 보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143억 있다.

 

보령 2022년 3분기보고서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Axiom Space

 

 

보령홀딩스가 돈이 많아서 하는 것도 아니고 

제약사인 보령이 이걸 왜 하는 걸까?

2021년 7월 유상증자 자금조달한 것은 985억은 Legacy Brand 인수(LBA)와 개량신약을 위해 할 거라고 했었는데 

저 우주 어쩌고는 무슨 돈으로 하는 건가? 

보령 2022년 3분기 보고서 - 유상증자 통해 조달한 자금 사용 예정처

 

보령은 3분기 현재 현금 351억, 단기금융자산 21억, 단기투자자산 1711억, 장기투자자산 538억

단기차입금 128억 유동성장기차입금150억 사채 779억 장기차입금 998억으로 

그나마 유상증자해서 현금이 좀 들어온 상태지 늘 차입금이 현금보다 많은 순차입 상태였다.

보령은 갑자기 이걸 왜 하지?

기사를 찾아보면 우주 헬스케어 관련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겠다고 한다. 

단백질 결정화하는 작업은 미세 중력(중력이 제로에 가까운 상태)에서 하기 쉽다는 둥 기사가 나오는데 사실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

카나브를 개발한 연구개발 실력을 보여준 회사, Legacy Brands 인수(LBA) 전략으로 새로운 길을 가는 회사라는 측면에서 그동안 재무 구조가 계속 안 좋았지만 한 번 공부를 시도해 본 건데 갑자기 회사가 이상하게 보인다.

나는 아직 주주는 아니고 공부하는 상태라서 내가 생각한 것과 너무 다른 방향으로 회사가 흘러가서 투자는 보류하지만 기존 주주들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다. 

그나저나 아직 보령 공부 본격적으로 들어가지도 않았는데 약간하기 싫어진다.

그래도 일단 12월은 어떻게든 하자. 

원래는 12월이 온달이 아니라서 1월까지 보령은 거의 2개월에 걸쳐 한 번 공부해 보고 싶었는데 12월까지만 하는 걸로 하자.

 

 

연구개발비는 연건 300~400억 대 정도 사용하고 매출액 대비 6% 전후 된다.

2021년부터는 20억 대 무형자산화 한다.

 

보령 연구개발 비용

 

 

금액으로 보면

2021년 BR3003 당뇨복합제 3상 임상 3상 들어가면서 29억 무형자산화 된 거 같고 

2022년 3Q BR3003 당뇨복합제 3상 24억 더 무형자산화 하고 

 

반응형

 

 

2022년 3Q BR1015 고혈압 복합제 3상도 임상 3상 들어가면서 5억 무형자산화 한 듯

 

 

BR3003 당뇨복합제 3상은 임상시험 승인 내역을 검색해 보니 

Metformin과 Dapagliflozin으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BR3003A-1 또는 BR3003B-1 병용투여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대조, 제 3상 임상시험

이렇게만 나와서 정확히 어떤 약물 세 가지 조합인지는 모르겠다.

BR1015는 카나브 성분인 피마사르탄과 이뇨제 성분을 결합한 고혈압 약이다.

 

보령 이전 공부 글!!!  ↓ ↓ ↓  

2022.12.19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판매경로, 판매방법, 연구개발 인력

 

보령 - 판매경로, 판매방법, 연구개발 인력

판매경로 ​ 1) 내수의 경우 공장→창고→병·의원, 약국→소비자 공장→창고→도매상→병·의원, 약국→소비자 ​ 2) 수출의 경우 L/C 입수→공장 출고→물품 선적→B/L 입수(선사)→수입상→ NEGO

todayhoney.tistory.com

 

2022.12.19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주요 원재료, 생산 능력, 가동률, 예산 공장

 

보령 - 주요 원재료, 생산 능력, 가동률, 예산 공장

주요 원재료 ​ 기타 항목이 너무 많아서 이걸로 봐서는 큰 의미는 못 찾겠다. 생산능력을 보면 2021년부터 예산공장 항암제 CAPA가 늘었다. 과거 사업보고서를 보니 2018년까지는 안산 공장만 있었

todayhoney.tistory.com

 

2022.12.17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보령 - 가. 전문의약품(ETC) 사업부 - ③ 항암제 / 나.수탁사업 / 다. 일반의약품 사업 / 주요 제품 등의 가격 변동 추이

 

보령 - 가. 전문의약품(ETC) 사업부 - ③ 항암제 / 나.수탁사업 / 다. 일반의약품 사업 / 주요 제품

가. 전문의약품(ETC) 사업부 - ③ 항암제 2014년 계약한 로슈의 '젤로다', 2015년 계약한 한국릴리의 '젬자', 2016년 계약한 삼양바이오팜의 '제넥솔' 등을 바탕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todayhoney.tistory.com

 

오늘 공부 끝!!

판매경로

1) 내수의 경우

공장→창고→병·의원, 약국→소비자

공장→창고→도매상→병·의원, 약국→소비자

2) 수출의 경우

L/C 입수→공장 출고→물품 선적→B/L 입수(선사)→수입상→ NEGO(대금 수령)

판매방법 및 조건

1) 내수의 경우

병·의원, 약국, 도매상에 현금, 어음 및 카드 판매

2) 수출의 경우

신용장에 의한 판매(L/C BASE)

구매승인서에 의한 판매

 

반응형


 

연구개발 활동

5대 주력질환군인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 CNS, 항암 분야 등을 중심으로 한 혁신신약 및 개량신약, 퍼스트 제네릭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First-in-class 화합물 항암신약 및 대사질환 신약 등을 개발 중이며, 카나브 단일제 및 카나브 복합 개량신약으로 구성된 카나브 패밀리의 성공을 위해 다양한 임상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특히, 개량신약과 퍼스트 제네릭으로의 효율적인 R&D 역량의 집중을 통해 회사의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실행 중에 있습니다.

당사의 R&D 센터의 각 연구개발부서들은 유기적인 협력 및 효율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위해 개발본부(임상전략실, 개발전략실)와 제제연구소를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연구개발 부서 조직도가 크다. 

2022년 3분기 보고서 연구개발 부서
2022년 3분기 보고서 연구개발 부서 조직도

 

연구개발 인력 현황 

2022년 3Q 박사급 10명, 석사급 73명 등 총 157명

2022년에 좀 늘었다. 

 

 

보령 2022년 3분기 보고서 연구개발 인력

과거에는 어땠는지도 사업보고서를 통해 찾아보았다.

보령 2018년 사업보고서 연구개발 인력
보령 2019년 사업보고서 연구개발 인력
보령 2020년 사업보고서 연구개발 인력
보령 2021년 사업보고서 연구개발 인력

 

 

핵심 연구인력은 R&D센터장 김봉석 전무

First in Class 혁신신약 및 개량신약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력

서울대학교 의학과

단국대학교 의학석사

강원대학교 의학박사

Western Institutional Review Board(WIRB) Fellowship

원자력 병원 혈액종양내과 전임의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 교육위원회/정책위원회 위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전문가

대한암학회/대한항암연구회 이사

대한종양내과학회 보험정책위원회 위원장

중앙보훈병원 진료부원장

 

주요 원재료

기타 항목이 너무 많아서 이걸로 봐서는 큰 의미는 못 찾겠다.

 

 

 

 

생산능력을 보면 2021년부터 예산공장 항암제 CAPA가 늘었다.

 

 

 

과거 사업보고서를 보니 2018년까지는 안산 공장만 있었는데 2019년 사업보고서부터 예산 공장이 등장한다. 이때는 항암제 아직 안 만들고 고형제(스토가, 카나브 등)를 생산 중이라서 일반 고형제 공장으로 나오네.

 

 

기사를 찾아 보니 예산공장은 독일 NNE Pharmaplan사가 설계하여 2017년 착공 2019년 준공되었다. 총 투자 금액은 1600억 원 

반응형

 

기존 안산 공장 보다 약 2.5배 컸다. 

생산동은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은 약 2만 8,551㎡ 규모로 고형제, 항암주사제 시설이 들어선다. 신공장은 생산, 포장에서 배송까지 원스톱 일괄 체계로 구축되었고, 전자동화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팩토리다. 

준공 이후 2020년 초부터 항궤양제 스토가 생산을 시작으로 카나브패밀리 등 고형제 생산을 했다.

2020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항암주사제 생산시설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 적합 인증을 받았고 이후 12월 말부터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인 벨킨주(성분명 보르테조밉) 생산을 본격적으로 들어갔다

준공 당시 기사로는 규모 면에서는 내용고형제는 연간 최소 8억 7000만 정, 600만 바이알(Vial) 생산이 가능하고 최대 5배까지 확장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2021년부터 숫자가 늘어난 건가

 

항암제 부분은 가동률이 아직 높지 않다.

아 3분기부터 젬자가 자사 제품으로 전환되었으니 온기로 반영되면 더 올라가려나?

 

 

 

가. 전문의약품(ETC) 사업부 - ③ 항암제

 

보령 2022년 3분기 보고서 - 매출 비중 항암제

 

 

2014년 계약한 로슈의 '젤로다',

2015년 계약한 한국릴리의 '젬자', 

2016년 계약한 삼양바이오팜의 '제넥솔' 등을 바탕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당사는 항암 질환군을 주요 미래 성장 동력으로 선정하였고, 집중 육성하기 위한 로드맵으로 두 가지 전략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오리지널 제품 브랜드의 인수와 도입입니다. 

2020년 일라이 릴리의 젬자 브랜드, 

2022년 알림타 브랜드에 대한 국내 독점 제조 및 판권 등 제반 권리 인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매출 안정성 및 수익성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당사의 예산공장에서 직접 생산한 젬자는 2022년 3분기부터 저희의 자사 생산 제품으로서 유통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다음 브랜드 인수 대상을 선정 중에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대형 품목의 파트너링 및 제품개발입니다. 

이를 통해 주요 암종인 소화기암, 여성암, 혈액암, 폐암은 물론, 신규 암종인 비뇨기암, 신규 시장인 바이오신약, 바이오시밀러, 항암보조영역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온베브지(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삼페넷(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한국쿄와기린의 뉴라스타와 그라신(호중구감소증 치료제)의 판권계약을 맺으며 신규 시장으로의 진입을 시작하였고, 

2022년부터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함으로써 항암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반응형

보령 홈페이지에 항암제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출처: 보령 홈페이지 항암제

 

 

항암치료보조제도 준비되어 있다.

항암치료보조제란 

1) 항암제 투여로 인한 구역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 먹는 약이

2) 식욕부진을 겪는 경우 이를 도와주는 약을 말한다.

 

출처: 보령 홈페이지 항암제 치료 보조제

 

 

 


다시 분기보고서 사업의 개요 설명을 보면

가. 전문의약품(ETC) 사업

나. 수탁사업

다. 일반의약품 사업

 

나. 수탁사업

 

안산공장과 예산공장의 우수한 전문 생산시설의 가동률을 높이고 매출 및 이익에 기여하기 위해 수탁생산을 실시했습니다.

코로나19라는 변수가 지나고, 2022년 부터 수탁 매출은 다시 정상궤도에 진입하였습니다. 

당사는 생동 허가 제도의 변경과 약가정책의 변경에 따라 변화하는 수탁시장의 환경에 맞추어 특화 설비를 활용하는 등 내실 있는 성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매출 내역으로 봐서는 기타가 수탁사업인가?

다른 매출 구성에 있는 약들은 다 보령 약이다.

이건 주담 통화 시 한 번 물어보자.

 

다. 일반의약품 사업

 

당사의 주력 일반의약품으로는 겔포스와 용각산이 있습니다. 

겔포스(수출명 포스겔)는 2021년 8월 중국으로의 5년간 1,000억 원의 수출 계약을 통해 향후 매출의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용각산의 경우 호흡기 건강에 대한 인식 확산과 더불어, 재택 치료 상비약으로 분류되며 매출의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향후에도 이러한 압도적인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극대화 할 것입니다.


주요 제품 등의 가격 변동 추이

맥스핌과 메이액트 약가가 2022년 인하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 약 하나하나가 의미 있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매출 비중이 크지 않으니.

그러나 이런 식으로 모든 약이 약가가 인하된다는 것이 문제다. 

전문의약품은 P가 오르지 않는다. 오히려 약가는 늘 인하된다. 

그러니 신제품이 나오거나 Q가 늘만 한 이유 적응증 확대 등이 있어야 한다.

메이액트 세립 경우는 2024년 인하될 약가까지 미리 정해져 있나 보다.

 

② 당뇨, CNS, 투석, 기타

당사와 한국릴리가 2016년부터 협업 중인 GLP-1 유사체 주사제인 트루리시티는 2021년 기준 연간 매출 470억 원을 돌파하며, 39%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였다. 

보령은 일라이 릴리의 협력관계는 끈끈한가 보다. 릴리의 약들을 보령과 협업을 많이 하네. ​

CNS(정신신경질환) 영역의 진출을 위해 당사는 전담조직을 별도로 운영하며, 부스파(항불안제), 프로작(우울증 치료제)과 스트라테라(ADHD 치료제)를 판매하고 있다. 2021년 10월 릴리의 자이프렉사(조현병 치료제) 브랜드를 인수하여 신경과에서 정신과까지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CNS 파이프라인을 강화하였다. 향후에도 글로벌 제약사의 우수 의약품 도입 및 유망 개량신약의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매출 증대를 계획하고 있다.

기존 항생제나 호흡기질환, 신장질환 등 타 질환군에서의 성과 역시 지속해나갈 것. 

스토어가(위궤양 치료제), 뮤코미스트(흡입형 진해거담제), 메이액트(항생제), 맥스핌(항생제) 등은 라이선스 인을 통해 들여와 자사 생산을 하고 있는 당사의 대표 성장품목이다. 

또한, 당사는 국내 최초로 완전 국산화에 성공한 복막투석 제품 페리플러스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들을 통해 국내 신장질환 환자들의 치료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홈페이지를 보면 아예 투석 관련 카테고리가 따로 있다. 

사진: 보령 홈페이지
사진: 보령 홈페이지

 

 

기사를 검색해 보니 페리플러스 국산화 이야기는 2005년에 이루어진 거구나. 

당시 복막투석액 박스터, FMC, 겜브로 등 다국적 3사가 경쟁이었는데 거기에서 보령이 5년간 연구 끝에 페리플러스를 개발하게 되었다고 한다. 1989년 독일 프리제니어스(Fresenius)사와의 기술제휴로 복막투석(CAPD)제품을 생산한 적이 있다고 한다. 

 

반응형

 

2005년 발매 당시에는 점유율 50%로 끌어올리면 연간 500억 정도를 바라봤었나 본데 

현재 2022년 3Q 매출 비중을 보면 아예 이름이 없는 것으로 보아 1%도 안되는 거 같다. 

보령 2022년 3분기 보고서 중 매출 비중

 

 

궁금해서 출시 다음 해인 2006년 매출 비중을 찾아보니 여기에서도 기타로 들어가 있다.

 

보령 2006년 사업 보고서 중 매출 비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