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연초 2600억대 주가가 연말 6400억까지 올랐다. 

매출액 5600억 영업이익 981억 영업이익률 17%

 

주가가 많이 오른 거 같아 보이지만 실적을 보면 오히려 연말에도 저평가 같다.

멋지다.

 

 

 

2017년 브랜드별 실적을 보면 

 

 

1. 디스커버리가 44% 성장하면 매출 3000억 규모 브랜드로 컸다.

모델인 공유가 주인공인 도깨비 드라마 인기. 

디스커버리가 제작 지원에 참여하고 제품 협찬해서 공유와 김고은이 드라마에서 입고 나옴

(도깨비 2016년 12월 ~  2017년 1월 방영)

 

그리고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따른 주말집회 참가 때문에 방한 의류 수요가 좋았다고 한다.

(2016년 11월에 공론화되어 2017년 3월까지 영향)

 

반응형

 

2. 그동안 잔잔하게 성장하던 MLB도 35%나 매출이 성장했다.

MLB는 면세점을 신규 유통채널로 확보. 이때부터 MLB가 면세점에서 모자가 인기가 좋았다고 한다. 

모자는 마진이 좋다. 대표적인 고마진 상품으로 ‘MLB’의 의류 마진이 10%대 초반이라면 모자 마진은 10%대 후반으로 추정한다. 

MLB 매출 내 면세점 비중은 20~25% 수준으로 추산되고 

면세점 채널에서는 고마진 제품인 모자의 판매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했다. 

 

이 시기에는 유명한 투자자분들이 F&F에 투자를 많이 했다. 

여러 곳에서 투자 사례를 들을 수 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2016년부터 사드 문제가 있어서 중국인들이 MLB 소비 거부를 하지 않겠냐는 의견이 있었는데 

투자자들은 면세점에 직접 가보고 중국인들이 줄 서서 구매하는 것을 보고 투자를 진행하였다는 내용이다.

 

어떤 오해가 생기면 그걸 그냥 그렇구나~하고 넘기면 안 되고 발로 뛰어 확인해 봐야 한다는 것을 배운다.

 

중국인들은 왜 MLB 모자를 좋아할까? 중국인들이 어떤 것을 좋아할 것을 미리 예측할 수 있을까?

나는 그게 너무 궁금한데 오늘 유튜브에서 보니 이게 예측으로 알기는 어렵고 발로 뛰어다니는 수밖에 없는 거 같다.

수프라 매장 조용한 걸 보면 더 그런 생각이 든다. 

유튜브 내용이 너무 좋아서 여러 번 봤다.

https://youtu.be/Sk2Sh6VblYg?si=jJvb8MR1Km6geXrC&t=90

 

 

 

3. 레노마 부진했던 레노마 브랜드 철수

레노마 2016년 3Q까지 실적 반영

 

 

 

2017년 사업보고서를 보면

'FNF HONGKONG은 홍콩 몽콕에 MLB1호점(17년 12월 오픈)을 시작으로 성공적으로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여 제1기(2017년 사업연도)에 2.3억의 매출액을 달성하였습니다.' 이런 내용이 나온다.

연말부터 해외 진출 시작되었구나. 

2017년에도 주가가 많이 상승했지만 2018년에도 계속 상승했다.

내일 더 알아보자.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21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F&F 알아보기 5 (2016년)

 

F&F홀딩스 - F&F 알아보기 5 (2016년)

◎ 2016년 2016년 시총은 2월에 1800억대까지 빠졌다. 연초 2400억대 시총은 연말 2700억 정도가 되기는 했다. 2016년은 횡보다.   매출액 4300억대 영업이익 450억대로 2015년 매출이 3700억 영업

todayhoney.tistory.com

 

◎ 2016년 

2016년 시총은 2월에 1800억대까지 빠졌다. 

연초 2400억대 시총은 연말 2700억 정도가 되기는 했다. 2016년은 횡보다. 

 

 


매출액 4300억대 영업이익 450억대로 
2015년 매출이 3700억 영업이익이 180억대니까 
매출액은 YoY로 18% 상승 영업이익은 무려 143%나 상승했고 무엇보다 5%대 영업이익률이 10%대로 올랐는데 
왜 주가는 2월에 많이 빠졌을까? 뭐 꼭 물론 실적 따라 주가가 가는 것은 아니지만.

 

당시 기사와 리포트를 찾아봤지만 특별한 내용은 없다. 오히려 내용은 좋다.

디스커버리가 한파 특수를 누리고 있어 고성장이 기대된다는 내용이다.

특히 겨울 매출은 주력상품인 ‘밀포드패딩’이 인기라고 한다.

 

이때 아웃도어 시장이 포화상태라는 기사는 있다.

2010년 이전에는 성장률이 30%였는데 2010년대 중반 넘어서니 성장률이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아웃도어 시장이 포화상태가 지속되면서 휠라코리아와 금강제화, 신세계인터내셔널 등이 아웃도어 시장에서 철수하기로 했다.

 

반응형

 

그러나 F&F는 혼자 잘함.
등산 등 레저 스포츠용이었던 아웃도어를 일상에서 입을 수 있는 스타일로 만들어 차별화했다. 

 

당시 기사를 보면 '김창수 대표는 패션에 대해서는 잘 몰랐지만 차별화된 콘셉트로 틈새시장을 찾아냈다.' 이런 내용이 나오는데 근데 이후 직원분들이 온라인에 올린 이야기 들어보면 누구보다 패션에 관심이 매우 많으신 분이던데?!
이런 내용을 남보다 잘 알았다면 투자에 좀 도움이 되었으려나....

 

아무튼 2016년은 실적에서 별문제 없어 보이는데 연중 주가는 좀 주춤한 거 같다.

 

성장 동력이라고 하던 디스커버리도 2016년 매 분기 YoY로 잘 성장했다.

 

 

 

 

 

아 혹시 다른 브랜드들 실적이 안 좋았나? 

 

 

 

다른 브랜드들도 실적 괜찮았던 거 같은데 

2016년은 주가가 쉬어 간 거 같다.

 

2017년 보니 MLB가 많이 성장하네

내일은 2017년 상황을 보자.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20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F&F 알아보기 4

 

F&F홀딩스 - F&F 알아보기 4

◎ 2015년 15000원 주가가 5월 26000원대까지 오른 후 계속 빠져서 연말에는 17000원 (수정주가 아님, 당시 주가)시총으로 보면 2400억대에서 시작해서 5월 4000억대까지 오른 후 연말에 2700억

todayhoney.tistory.com

 

◎ 2015년 

15000원 주가가 5월 26000원대까지 오른 후 계속 빠져서 연말에는 17000원 (수정주가 아님, 당시 주가)

시총으로 보면 2400억대에서 시작해서 5월 4000억대까지 오른 후 연말에 2700억대

 

2015년 실적 매출액 3700억 영업이익 188억 

 

실적은 계속 상승하고 있었고 그에 비해 시총도 그리 크지 않았던 거 같다.

이 정도 범위는 움직일 수 있는 거 같음.

 

 

 

3월 4월에 주가가 많이 올랐는데 증권사 리포트를 보면 이때 2015년 영업이익이 130% 이상 증가할 거라는 내용이 있다.

디스커버리 성장률을 높게 본다. 이때 아웃도어 시장이 2017년까지 연평균 11.5% 성장할 것이라고 보는데 특히 디스커버리가 반응이 좋았다. 

 

반응형

 

그리고 이때 F&F는 현금성 자산이 1억 정도밖에 없었다. 이유는 이천물류창고 때문이다. 

2008년 이천물류창고 신축을 위해 토지를 사 2014년 3월 4일 물류창고를 완공했다.

이천물류창고 건설에는 약 500억이 투자되어 단기 차입금이 늘었다.

성장하는 기업이 투자를 위해 일시적으로 재무가 살짝 안 좋아 보일 수도 있는데 이때는 너무 재무에 집중하지 말고 왜 이런 상황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겠구나 싶다.


이천물류창고는 아웃도어 의류 보관을 위해 건설된 것이다.

아웃도어 의류의 특성상 보관에 신경 쓸 점이 많아 첨단방식으로 물류창고를 신축했다. 

역삼동 본사, 이천 물류창고 등 보유 부동산의 시장가치가 당시 장부가로 1115억인데 시장가치는 2300억 원이었다고 한다.

디스커버리가 성장하고 있는데 부동산 가치만 2300억이고 시총이 2400억대였다니 이렇게 보면 F&F 정말 싸 보이는데 

왜 2016년 상반기까지 주가가 내리지?

혹시 디스커버리가 둔화된 건가?

 

디스커버리 분기별 매출액을 보자.

매출액 증가율은 YoY다. 아웃도어라 계절성이 있어서. 

 


 

성장은 하는데 둔화되어 그런 건가?

내일은 2016년 상황을 알아보자.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19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F&F 알아보기 3

 

F&F홀딩스 - F&F 알아보기 3

어제에 이어 F&F 2014년 상황 알아보기 ◎ 2014년 7000원 주가가 15000원까지 두 배 올랐다. (수정주가 아님, 당시 주가)시총 1090억에서 2300억대까지 2014년 주가가 왜 올랐나 찾아보고 있는데 한경컨센

todayhoney.tistory.com

 

어제에 이어 F&F 2014년 상황 알아보기

 

◎ 2014년 7000원 주가가 15000원까지 두 배 올랐다. (수정주가 아님, 당시 주가)

시총 1090억에서 2300억대까지

 

2014년 주가가 왜 올랐나 찾아보고 있는데 한경컨센서스에서 리포트가 안 나오네

너무 오래되어서 그런가?

일단 2014년 사업보고서에 나온 매출을 보면 이 당시 디스커버리 성장이 컸다.

 

 

 

2013년 300억대이던 디스커버리 매출이 2014년 1000억대까지 성장해서 가장 매출 비중이 큰 MLB만큼 컸다.

2014년 9월에 동부증권에서 '디스커버리 15년 흑자전환이 가능할 전망' 이런 식의 기사를 낸 것을 보면 

일단 2013년 300억대 매출이라도 BEP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이때 내용을 보면 의류 브랜드는 보통 신규 론칭 후 손익 BEP 도달까지 최소 3~4년 이상 소요된다고 한다.

(요즘은 온라인 판매가 많아 이보다 BEP 도달 시기가 빨리 도래하는 거 같다.)

 

매장수는 2012년 30개 →  2013년 87개  →   2014년 125개  →   2015년(E) 150개

 

아 이때 모델이 공유였구나

 

 

 

도깨비 드라마 언제 했는지 검색해 보니 

방송 기간 2016년 12월 2일 ~ 2017년 1월 21일이라고 한다.

이때 공유가 인기가 많아서 디스커버리 인기가 좋았다고 하는데 이건 2016년 이야기구나.

 

내일은 2015년이랑 분기별 실적은 어땠는지 알아보자.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18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F&F 알아보기 2

 

F&F홀딩스 - F&F 알아보기 2

F&F 주가를 보려고 하는데 중간에 인적 분할해서 자꾸 헷갈린다. 일단 2021년 5월 인적분할 이전 F&F홀딩스 실적을 F&F의 실적이라고 보고  F&F홀딩스 주가와 실적을 본다. 참고로 수정주가 아니다.

todayhoney.tistory.com

 

 

F&F 주가를 보려고 하는데 중간에 인적 분할해서 자꾸 헷갈린다.

 

일단 2021년 5월 인적분할 이전 F&F홀딩스 실적을 F&F의 실적이라고 보고 

F&F홀딩스 주가와 실적을 본다. 

참고로 수정주가 아니다. 

 

 

 

2014년 F&F가 매출 3000억 영업이익 100억대 시절이 있었는데

이 기업이 이제 매출 거의 2조를 바라보고 있다니 

어떻게 이 기업은 이렇게 될 수 있었는지 궁금하다.

 

◎ 2014년 7000원 주가가 15000원까지 두 배 올랐다. (수정주가 아님, 당시 주가)

시총 1090억에서 2300억대까지

 

반응형

 

2014년 사업보고서를 보자.

 

- 1996년 7월 라이선스 브랜드인 RENOMA SPORTS 론칭

- 1997년 6월 MLB 라이선스 브랜드를 런칭하여 성공 ( MLB 라이센스 사업이 되게 오래된 일이구나 

MLB 브랜드의 인지도 및 고객 충성도를 바탕으로 2010년 2월 차별화된 키즈라인인 MLB KIDS를 런

- 기존의 정통 아웃도어의 획일화된 디자인을 탈피하여 새로운 개념의 아웃도어 컬처 브랜드인 THE DOOR를 2012년 3월 론칭

- 하반기에는 글로벌 논픽션 채널인 디스커버리 채널과의 라이선스를 통해 스포츠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인 '디스커버리(DISCOVERY)'로 전환, 차별화되고 특화된 아웃도어를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  한편, 패션 아웃렛 콜렉티드 죽전점 오픈으로 종합 패션 유통기업으로서의 기반을 다진

- 내추럴 모던콘셉트의 컨템퍼러리 그린바 쟈르뎅 페르뒤(JARDIN PERDU)를 오픈하여 외식사업에 진출하며 대한민국 패션 시장을 주도하는 대표기업으로서 면모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 2014년 사업보고서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디스커버리(DISCOVERY) 뉴스다.

 

 

너무 졸려

내일 더 본다.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17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F&F 주가 보기 1

 

F&F홀딩스 - F&F 주가 보기 1

F&F홀딩스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 딱히 히든 밸류 자회사도 없는 거 같고 배당도 많이 안 주는 거 같고그냥 F&F 지분 가치가 제일 중요한 듯;;; 인적 분할 이후 주가 흐름은 같았을까? 2021년

todayhoney.tistory.com

 

F&F홀딩스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 

딱히 히든 밸류 자회사도 없는 거 같고 배당도 많이 안 주는 거 같고

그냥 F&F 지분 가치가 제일 중요한 듯;;;

 

인적 분할 이후 주가 흐름은 같았을까?

 

2021년 5월 인적분할 이후 주가 

 

 

 

◎ 2021년 

인적분할 이후 지주회사 가치는 낮게 평가되고 사업회사 가치는 높게 평가되니 
F&F홀딩스 주가는 떨어지고 F&F 주가는 올랐다.

 



◎ 2022년 
F&F홀딩스 주가는 계속 내리다가 11월 초 갑자기 일주일 만에 14000원대에서 24000원대까지 75%나 급상승했고 연말까지 주욱 올랐다.

 

반응형


왜? 기사를 보면 2022년 11월 10일 국내 패션기업의 단일 브랜드가 해외에서 매출 1조 원을 달성한 것은 MLB가 처음이라면서 MLB 해외매출 1.2조 전망된다며 F&F홀딩스가 상한가를 갔다고 한다.

근데 이때 F&F는 별로 안 올랐는데?

그냥 F&F홀딩스가 너무 많이 빠져서 MLB 해외매출 핑계로 오른 건가?

주가가 너무 빠졌을 때 갑자기 F&F의 가치가 부각된 건가?

 

F&F 주가를 보면 2021년 많이 올랐던 주가가 좀 빠지더니 횡보했다.

아 일단 F&F를 좀 봐야겠다.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16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에프앤코 알아보기 3

 

F&F홀딩스 - 에프앤코 알아보기 3

어제에 이어 에프앤코 더 알아보자. 에프앤코는 자회사가 3개 있다. 모두 지분율 100% 에프앤코 상하이 (중국 판매)  에프앤코 미국 (미국 판매) 쿠스에이치앤비(한국 클린뷰티 브랜드

todayhoney.tistory.com

 

어제에 이어 에프앤코 더 알아보자.

 

에프앤코는 자회사가 3개 있다. 모두 지분율 100%
에프앤코 상하이 (중국 판매) 
에프앤코 미국 (미국 판매)
쿠스에이치앤비(한국 클린뷰티 브랜드 쿠스 KU:S)

 

반응형

 

쿠스에이치앤비의 쿠스 KU:S는 처음 들어봐서 검색해 보니 바닐라코 홈페이지에 탭이 있네 

 

 

 

 

2022년까지는 미스터바우어라는 젤네일 스티커 브랜드도 있었다. 2022년 청산했다네.

 

 

 

 

연결 매출이 1500억 정도인데 중국 판매가 많은 가보다. 에프앤코 상하이 매출이 500억이 넘네

 

 

 

 

 

중국 외에도 일본에서도 반응이 좋은가보다. 

현재 모델은 신세경, 세븐틴 정한

 

 

 

바닐라코 잘나가는구나

클렌징밤 진짜 좋긴 함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15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에프앤코 알아보기 2

 

F&F홀딩스 - 에프앤코 알아보기 2

에프앤코 관련 기사를 찾아보면 '김창수 회장의 경영권 승계 열쇠'라는 식의 내용이 많다.2023년 ~ 2024년 김창수 회장이 자신의 지분을 에프앤코에 넘겼기 때문이다.     2023년 4월 86만주 2023

todayhoney.tistory.com

 

 

 

에프앤코 관련 기사를 찾아보면 '김창수 회장의 경영권 승계 열쇠'라는 식의 내용이 많다.

2023년 ~ 2024년 김창수 회장이 자신의 지분을 에프앤코에 넘겼기 때문이다. 

 

 

 

 

2023년 4월 86만주
2023년 7월 41만주
2023년 3월 61만주

 

그래서 지금은 F&F홀딩스 지분이 김창수 62.84%   에프앤코 4.84%다.

 

반응형

 

에프앤코 주주 구성은 '대표이사와 그의 특수관계자의 지분율은 88.96%' 이런 식으로 나와 있어서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아마 김창수 대표의 자녀들 지분이 높을 것으로 추정한다.

 

에프앤코 손익계산서를 보자.

 

 

 

코로나 때는 적자가 났지만 요즘 괜찮다.

화장품 기업들이 다 실적이 좋은데 바닐라코도 반응이 좋은가 보다.

 

내일 좀 더 알아보자.

방금 슬쩍~ 봤는데 에프앤코는 테슬라 주식에도 투자했네 ㅎㅎ

 

내일 더 보자.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14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별도 현금 및 금융자산, 에프앤코 알아보기 1

 

F&F홀딩스 - 별도 현금 및 금융자산, 에프앤코 알아보기 1

F&F홀딩스를 알아보고 있는데 딱히 히든밸류 자회사가 있는 거 같지 않고배당이 크지도 않고혹시 별도로 현금은 많나?별도 재무상태표를 보면 무차입이고 현금과 금융자산은 800억대 정도 있다.

todayhoney.tistory.com

 

 

F&F홀딩스를 알아보고 있는데 딱히 히든밸류 자회사가 있는 거 같지 않고

배당이 크지도 않고

혹시 별도로 현금은 많나?

별도 재무상태표를 보면 무차입이고 현금과 금융자산은 800억대 정도 있다.

 

 

어제 기사를 보니 에프앤코 이야기가 나온다. 

에프앤코는 대주주 일가의 회사로 

F&F홀딩스의 지분율 4.84% 주주다.

 

오늘은 에프앤코 기사를 찾아보자.

 

반응형

 

2008년 사업보고서를 보면 에프앤코는 F&F홀딩스의 지분율 100% 회사다.  

 

 

2009년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김창수 대표가 지분을 다 넘겨받았다.

 

당시 실적을 보면 매출은 100억대이고 겨우 BEP 전후인 거 같다.

 

 

바닐라코

 

 

바닐라코 요즘 많이 쓰나? 예전에 유명한 건 기억에 나는데 요즘은 잘 모르겠다.

그런데 잡플래닛을 보니 회사가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좀 보인다. 보통 잡플래닛에서 이런 내용이 나오기 어려운데!

 

 

그리고 에프앤코 규모가 작을 거 같은데 매출이 1500억대 영업이익이 200억대다.

졸리니 내일 더 알아보자.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13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종속기업 에프앤에프로지스틱스 2, 주주 구성

 

F&F홀딩스 - 종속기업 에프앤에프로지스틱스 2, 주주 구성

이틀 전에 에프앤에프로지스틱스 보다 만 거 있어서 다시 찾아본다. 물류 회사인 로지스틱스는 이전에도 있었는데 2021년 합병했다가 2023년 다시 신규 설립되었는데 이전과 뭔가가 다르다! 가

todayhoney.tistory.com

 

이틀 전에 에프앤에프로지스틱스 보다 만 거 있어서 다시 찾아본다.

 

물류 회사인 로지스틱스는 이전에도 있었는데 2021년 합병했다가 2023년 다시 신규 설립되었는데 

이전과 뭔가가 다르다! 가장 크게는 자산 규모가 많이 줄어있다.

2021년에는 1300억대이던 자산이 2023년 신규 설립되고는 19억 정도로 줄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이 더벨 기사에 있네 

 

제목이 'F&F홀딩스, 물류센터 없는 '로지스틱스' 설립한 까닭은'이다.

내용을 보면 이전과 달리 통합물류센터 등 부동산 자산을 넘기지 않았다고 한다.

 

이전 물류회사는 이천 통합물류센터를 기반으로 상품을 보관하는 임대 부문과 F&F가 보유한 브랜드 디스커버리, MLB 등의 제품 물류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 부문 두 사업을 하였다.

이번에 신규 설립된 에프앤에프로지스틱스는 물류 대행 사업만!한다.

임대 수익은 지주사가 한다네. 

에프앤에프로지스틱스가 F&F홀딩스의 100% 자회사이긴 하지만 

아무튼 부동산은 F&F홀딩스에 남아있고 임대 수익구조도 F&F홀딩스가 한다.

 

 

지난번 계통도는 봤다.

 

 

 

F&F홀딩스 주주 구성을 보자.

김창수 외 9인 91.71%
자사주 0.11%

 

반응형

 

와!! 이런 주주 구성 처음 봤다. 상장은 왜 되어 있는 거지? 

약간 불안한 게 이런 건 갑자기 상장폐지한다고 할 수도 있지 않나?

저평가인줄 알고 샀다가 낮은 가격에서 상폐되면 어쩌지?

 

김창수 외 9인 주주 구성이 중요할 거 같다.

 

김창수 62.84%     대표, 61년생
홍수정 7.57%     F&F 이사, 김창수 대표 부인, 63년생
김승범 6.70%     김창수 대표 1남 87년생, 에프앤코 상무이사,  F&F 디지털 본부 총괄
김태영 6.13%     김창수 대표 2남 87년생, 수프라 마케팅 총괄
에프앤코 4.84%     김창수 대표와 특수관계자의 지분율 88.96%인 화장품 회사
김진욱 2.15%   김창수 대표 동생 
김진희 0.88%   -  김창수 대표 동생 
김영아 0.48%   -  김창수 대표 동생 
김명언 0.07%    -  김창수 대표 동생 
김진나 0.04%    -  김창수 대표 동생

 

 

지난 F&F홀딩스 글 ↓ ↓ ↓  

 

2024.05.12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F&F홀딩스 - 배당금, 별도 매출 구성

 

F&F홀딩스 - 배당금, 별도 매출 구성

어제까지 F&F홀딩스 자회사들을 알아봤는데 딱히 히든 밸류는 모르겠다.그냥 F&F 지분 가치가 제일 중요한 듯;;; F&F홀딩스 배당은 많이 주나?2021년 분할 이후 배당금을 보자. 2023년 배당금은 400원

todayhoney.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