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대상 종속회사 3. 플레이매치컬

2021년 7월 지분율 100%로 신설한 회사다. 그런데 2022년 3월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지분율 100% → 90.9%로 줄었네.

누구에게 유상증자한 거지?

공시를 보면 플레이매치컬 '36만주 주주배정방식 유상증자 신주의 액면가액 및 발행가액 5,000원, 총 18억 원' 이렇게만 나온다.

 

뭐 하는 회사지?

게임잡에서 2D애니메이터, 3D캐릭터모델러, 전투 밸런스 기획자 모집한 거 보면 게임 개발사인가 보다.

캐주얼게임을 특화해 키우기 위해 설립했고 지금 캐주얼풍 장르 결합 게임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이현우 대표는 위메이드플레이의 현재 개발 담당 이사도 겸임하고 있다.
그리고 플레이매치컬에는 주식매수선택권이 18,200주 행사가격 5000원에 부여되어 있다.
주식선택권 행사기간 2025년 3월 31일부터 2030년 3월 30일까지
그 사이에 2000주 취소되었다. 퇴사한 건가? 아무튼 5000원 행사가에 16200주 주식매수선택권이 부여되어 있네.

반응형

 

그리고 2022년에 3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추가되었는데 다음과 같다.

 

4 코람코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42호 지분율 94.74% (216억원 현금출자)
5 유나이티드파트너스국내리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호 지분율 98.72% (387억원 현금출자)
6 케이원제19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지분율 75.09% (300억원 현금출자)

 

사업보고서를 보면

2022년 2월 당사가 '유나이티드파트너스국내리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호', '코람코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42호' 부동산 펀드에 LP(Limited Partner)로 참여하면서, 해당 펀드가 투자한 리츠(REITs) '㈜케이원제19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와 해당 펀드 2종이 당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신규 편입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사업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기타 매출 부문에 해당 실적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2022년 매출액 중 구성비율 3%)

 

Limited Partner란 무엇일까?

사모펀드(PEF)에 자금을 위탁하는 투자자로 펀드출자자라고 한다. 투자하고 책임지는 거라네. 유한책임사원.

 

위메이드플레이에 대한 배경지식이 전혀 없는 나로서는 갑자기 쌩뚱맞다는 생각이 든다.

게임회사 열어 봤는데 갑자기 리츠가 나오네.

기사를 찾아 보자.

 

그동안 위메이드플레이는 무차입 상태였는데 2022년 투자부동산을 취득하면서 차입금이 늘었다.
투자부동산 취득 1706억
토지 791억 원, 건물이 915억 감가상각이 20억 일어나서 2022년 사업보고서 장부가는 1685억이다.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경제적 내용연수에 따라 40년을 적용하여 정액법으로 상각 한다고 했으니
915억 / 40년 = 연간 22억 정도 건물 감가상각 예정인 듯

인력이 늘어나고 자회사 합병 등으로 사무 공간의 확장이 필요해 투자했다고 한다.

그런데 생각보다 기사나 자료가 별로 없다.

내일 좀 더 찾아보자.

 

 

 

지난 위메이드플레이 글 ↓ ↓ ↓  

2023.04.01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위메이드플레이 - 4월 공부 기업 !!! 2022년 최대주주 변경 스마일게이트홀딩스 → 위믹스코리아(구 위메이드이노베이션)

 

위메이드플레이 - 4월 공부 기업 !!! 2022년 최대주주 변경 스마일게이트홀딩스 → 위믹스코리아(

4월에 어떤 기업을 매일 20분씩 알아볼까 하다가 위메이드플레이로 결정했다. 위메이드플레이는 구 선데이토즈 창립 멤버들이 매주 일요일 모임 공간 토즈에서 모여서 게임을 만들다가 회사를

todayhoney.tistory.com

 

2023.04.02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위메이드플레이 - 연결대상 종속회사 비상장 6개, 플레이링스 알아보기 1

 

위메이드플레이 - 연결대상 종속회사 비상장 6개, 플레이링스 알아보기 1

연결대상 종속회사 비상장 6개 플레이링스 플레이토즈 플레이매치컬 코람코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42호 유나이티드파트너스국내리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호 케이원제19호위탁관리부

todayhoney.tistory.com

 

2023.04.03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위메이드플레이 - 연결대상 종속회사 1 플레이링스, 2 플레이토즈 (플레이메타체인)

 

위메이드플레이 - 연결대상 종속회사 1 플레이링스, 2 플레이토즈 (플레이메타체인)

어제 연결대상 종속회사 1번 플레이링스 알아보다가 20분이 다 갔다. 그런데 뭐하는 회사인지도 못 알아보고 끝났었다. 플레이링스는 뭐하는 회사지? 영어로 PLAY LINKS구나. 캐주얼 게임 전문 개발

todayhoney.tistory.com

 

 

어제 연결대상 종속회사 1번 플레이링스 알아보다가 20분이 다 갔다.

그런데 뭐하는 회사인지도 못 알아보고 끝났었다.

 

플레이링스는 뭐하는 회사지? 

영어로 PLAY LINKS구나. 캐주얼 게임 전문 개발사이다. 2015년에 설립되었다. 
유명한 게임은 '애니팡 맞고', '애니팡 포커', 2018년 '슬롯메이트'로 해외 소셜 카지노 시장에도 진출했다.

 

위메이드플레이 연결대상 종속회사 플레이링스의 게임
위메이드플레이 연결대상 종속회사 플레이링스의 게임

 


어제 말한 여기에 흡수합병된 
1) 링스게임즈는 국내 카지노 슬롯 게임 전문 개발사였고 북미와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이롤러 베가스 슬롯, 라이트닝 슬롯의 모바일 카지노 게임을 서비스했다. 
2) 플라이셔는 '락앤캐쉬' 카지노의 150여 개 슬롯을 가진 개발사로 플레이링스와 시장이 겹치지 않는 글로벌 오픈마켓의 앱 기반 소셜 카지노 개발과 운영에 특화된 기술력이 있는 회사였다. 

 

반응형

 

연결대상 종속회사 2. 플레이토즈
 
2021년 신설되었다. 위메이드플레이의 지분율 100% 
뭐 하는 회사인지 찾아보려는데 위메이드 계열사들은 이름을 여러 번 바꾸고 비슷하게 바꿔서 검색하기가 어렵다.
플레이토즈 검색하면 위메이드플레이, 선데이토즈가 나온다.
아무튼 찾긴 찾았다.
블록체인사업부인가 보다. 그런데 이름이 또 '플레이메타체인'으로 나온다. 
플레이메타체인은 애니팡 IP 기반의 NFT 멤버십 ‘애니팡 클럽’ 사업을 전담하는 자회사라고 나오는데 블록체인과 IT기술을 활용한 신사업에 주력하기 위해 자회사 플레이토즈를 확대, 개편된 회사라고 한다. 아니 이건 무슨 소리일까?  
아 다른 기사 보니 사명 변경이라네. 그런데 왜 사업보고서에 반영이 안 되었을까? 
플레이토즈 → 플레이메타체인 
애니팡 클럽의 NFT를 개발하고 서비스 제공, 판촉, 판매, 유통과 고객관리 등을 담당한다.

아직 매출은 거의 없고 2022년 순이익 -3억 정도 적자 

 


지난 위메이드플레이 글 ↓ ↓ ↓  

 

2023.04.02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위메이드플레이 - 연결대상 종속회사 비상장 6개, 플레이링스 알아보기 1

 

위메이드플레이 - 연결대상 종속회사 비상장 6개, 플레이링스 알아보기 1

연결대상 종속회사 비상장 6개 플레이링스 플레이토즈 플레이매치컬 코람코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42호 유나이티드파트너스국내리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호 케이원제19호위탁관리부

todayhoney.tistory.com

 

2023.04.01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위메이드플레이 - 4월 공부 기업 !!! 2022년 최대주주 변경 스마일게이트홀딩스 → 위믹스코리아(구 위메이드이노베이션)

 

위메이드플레이 - 4월 공부 기업 !!! 2022년 최대주주 변경 스마일게이트홀딩스 → 위믹스코리아(

4월에 어떤 기업을 매일 20분씩 알아볼까 하다가 위메이드플레이로 결정했다. 위메이드플레이는 구 선데이토즈 창립 멤버들이 매주 일요일 모임 공간 토즈에서 모여서 게임을 만들다가 회사를

todayhoney.tistory.com

 

 

연결대상 종속회사 비상장 6개

플레이링스

플레이토즈

플레이매치컬
코람코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42호
유나이티드파트너스국내리츠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호
케이원제19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종속회사들이 돈을 벌고 있는 건 아니구나. 여기도 본사 사업이 중요하구나.

 

위메이드플레이 연결대상 종속회사 6개
위메이드플레이 연결대상 종속회사 6개

 

1. 플레이링스

2020년 사업보고서를 보면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1개밖에 없다.

선데이토즈플레이. 현재 사명은 플레이링스.

 

2020년에는 지분율이 100%였는데 2021년에는 사명이 플레이링스로 바뀌고 지분율도 84.65%로 줄었다.

이때 관계기업투자인 링스게임즈가 플레이링스로 흡수합병으로 인하여 소멸되었는데 여기 주주들에게 주식이 배부된 것이 아닐까 추측한다. 그래서 지분율이 줄어든 것 같다.

 

2022년에는 또 지분율이 82.20%로 줄었다.

2022년에는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있던 플라이셔가 또 플레이링스로 흡수합병되었다.

위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그래도 종속회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안정적으로 흑자를 내고 있는 회사다.

 

반응형

 

그런데 3년 치 재무상태표를 보면 2022년에 자본이 갑자기 커졌다.

링스게임즈, 플라이셔 인수할 때 각각 영업권을 지불하며 인수했는데

(링스게임즈 영업권 50억, 플라이셔 영업권 265억)

그 금액들이 흡수합병하면서 플레이링스 규모가 커지는 건가?

 

위메이드플레이 연결대상 종속회사 - 플레이링스
위메이드플레이 연결대상 종속회사 - 플레이링스

 

참고로 위 영업권 금액 링스게임즈 영업권 50억, 플라이셔 영업권 265억은

2021년 6월 종속기업인 선데이토즈플레이가 관계기업인 링스게임즈를 흡수합병할 때 지불한 영업권.
2021년 11월 플라이셔 지분을 84.35% 인수하여 종속기업으로 편입할 때 지불한 영업권이다.

(플라이셔 경우 흡수합병이 아니라 처음 종속기업으로 편입할 때! 들어간 영업권이다.)

 

아직 플레이링스가 뭐 하는 회사인지 알아보지도 않았는데 12시 넘었다.

일단 자고 내일 알아보자.

 

 

지난 위메이드플레이 글 ↓ ↓ ↓  

 

2023.04.01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위메이드플레이 - 4월 공부 기업 !!! 2022년 최대주주 변경 스마일게이트홀딩스 → 위믹스코리아(구 위메이드이노베이션)

 

위메이드플레이 - 4월 공부 기업 !!! 2022년 최대주주 변경 스마일게이트홀딩스 → 위믹스코리아(

4월에 어떤 기업을 매일 20분씩 알아볼까 하다가 위메이드플레이로 결정했다. 위메이드플레이는 구 선데이토즈 창립 멤버들이 매주 일요일 모임 공간 토즈에서 모여서 게임을 만들다가 회사를

todayhoney.tistory.com

 

4월에 어떤 기업을 매일 20분씩 알아볼까 하다가 위메이드플레이로 결정했다.

 

위메이드플레이는 구 선데이토즈

창립 멤버들이 매주 일요일 모임 공간 토즈에서 모여서 게임을 만들다가 회사를 차리게 되어 사명이 선데이토즈라고 한다. 

 

지금 이름 위메이드플레이드는 2022년에 변경되었다. 

이때 최대주주가 스마일게이트홀딩스에서 위메이드로 바뀌었다. 정확하게는 최대주주가 위메이드이노베이션으로 바뀌었다. 위메이드이노베이션은 자금 조달을 위해 신규로 만든 회사다.

위메이드이노베이션이 스마일게이트홀딩스의 보유 주식 340만 주(지분율 35.52%) 중 200만 주(20.9%)를 840억에 샀다.

주당 42000원이다.

 

그리고 유상증자도 했다. 선데이토즈는 위메이드이노베이션을 대상으로 3자배정 방식의 유상증자 실시.

유상증자 가격은 27750원. 신주 190만주를 발행한다. 여기서 또 527억 원이 들어온다.

 

그리고 300억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도 발행했다. 만기이자율 2%, 행사가액 주당 32609원.

 

그러면 총 구주 840억 + 유상증자 527억 + 신주인수권부사채(BW) 300억 = 1667억

위메이드이노베이션은 선데이토즈 인수를 위해 1667억을 썼다.

 

 

지금 위메이드플레이 주주현황을 보면

위믹스코리아 34%, 자사주 9.32%다.

위메이드이노베이션이 그 사이에 이름을 또 위믹스코리아로 바꾸었다.

 

반응형

 

질문 1. 위 평단가 숫자들을 보면 지금 주가 보다 많이 높다.

구주 산 거는 42000원 유상증자는 27750원 BW 행사가는 32609원

2023년 3월 말 종가는 16110원인데 혹시 액면분할 무상증자를 했나? 아니네.

빨간 네모 시기가 인수시기로 당시 주가 상태가 그랬다.

지금 가격과 괴리가 큰 것은 그냥 지금 주가가 내렸기 때문일 뿐이다. 자본금 변동 사항을 보고 다시 확인했다.

 

위메이드플레이 주가 차트
위메이드플레이 주가 차트

 

 

질문 2. 왜 위믹스코리아의 지분율이 34% 밖에 안되지?

아 사업보고서를 보니 아직 신주인수권부사채(BW) 300억 행사 안 했다.

 

위메이드플레이 신주인수권부사채(BW) 내역

 

 

그리고 이것도 주가가 하락했다고 신주인수권행사 가격이 조정되었다.

 

위메이드플레이 신주인수권부사채(BW) 행사가 조절

 

BW 행사가가 처음 발행할 때는 32609원이었는데 주가가 하락하면서 22827원까지 내려왔다.
처음 발행했을 때 공시를 보면 발행가 32609원, 신주인수권 행사에 따라 발행할 주식 수가 919,991로 이는 총 주식 대비 7.43%에 해당한다. 그런데 22827원까지 행사가가 내려오니 신주인수권 행사에 따라 발행할 주식 수가 1,314,233 주로 늘었고 이는 총 주식 대비 11.4% 정도 된다. 최저 조정가액이 22827원이라서 더 내려오지는 않는다.

다행히 최대주주에게 발행한 거고 지금 주가 보다 위에 있어서 기존 소액 주주들에게 큰 희석 리스크로 느껴지지는 않는다.

아 만약 지금 사는 주주가 아니라 고가에서 산 주주라면 희석 리스크가 커졌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인가?

같은 기업의 주주라도 얼마에 샀느냐에 따라 입장이 다른 거 같다.

참고로 표면이자율은 0%이고 만기이자율은 2%다.

내년 12월까지 행사 기간이니 아마도 행사하겠지?

 

 

뭔가 4월 공부 재밌을 거 같다ㅎㅎ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카테고리에서는 매달 1개 기업을 정해서 20분씩 타이머를 맞춰서 그 기업에 관련된 내용을 찾아 적는다. 이렇게 시작하게 된 이유는 헬스장 다녀와서 밤 시간을 휴대폰 하면서 그냥 날리는 날이 많아서다. 뭐를 하나 정해 놓으면 잘할 거 같아서 했는데 생각보다 도움이 많이 된다. 어떤 날은 20분 타이머를 넘기고 1시간 동안 찾다가 늦게 잔 날도 있을 정도로 밤에 이렇게 하는 게 재밌다.

 

3월은 한독을 살펴봤다.

한독을 고른 이유는 재무로 스크리닝하다가 걸렸기 때문이다. 과거 밸류보다 낮은 밸류를 받길래 시작한 건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보면 볼수록 싸지 않은 거 같아서 투자는 패스하기로 한다.

 

한독을 매일 20분씩 보면서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을 번갈아 가며 <<한독약품 50년사>>를 봤다.

기업 통사를 보는 것은 도움이 된다. 왜 이기업은 이렇게 오픈이노베이션에 마음이 잘 열리는 가를 보면 처음 시작이 훽스트와의 합작사였던 이유도 있는 거 같다. 그 성공 경험이 강렬했던 거 같다. 그리고 통사를 보면 기업의 실체가 조금 더 느껴진다. 그전에는 기업이 아니라 숫자로만 보였는데 말이다.

 

한독은 매출이 꺾이지 않고 꾸준히 증가했다.

또 케토톱을 리뉴얼하면서 매출을 계속 늘려왔다. 그 외 다른 제품군도 매출 규모를 잘 유지했다.

회사 유튜브를 보면 직원분들 만족도도 높은 거 같다. <<한독약품 50년사>> 책에서 보면 노사 관계에 신경을 많이 쓰는 기업 같았다. 그런 부분은 좋아 보였다. 

 

반응형

 

다만 매출부터 시작해서 내려오는 손익계산서,

자본을 이해하기 위해 재무상태표를 보면 이 기업의 ROE에 대해 의문이 든다.

 

제넥신 등 지분법 손실은 언제 끝이 날 것인가 싶고 

순이익이 매우 들쑥날쑥이다. 아니지 '들쑥'만 있고 '날쑥'은 없다.

영업이익이 200~300억대로 나와도 순이익단으로 내려오면 지분법손실과 이자 비용 등이 많아 솜사탕처럼 숫자가 사라진다. 

 

오픈이노베이션이 장기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향후 몇 년간 숫자로 도움이 될지 잘 모르겠다.

라이선스 IN한 품목들에 대해서는 대부분 계약 상대 기업 지분 투자를 해서 그걸 오픈이노베이션이라고 하는데  성과가 나오기에 너무 먼 미래의 일이다. 그리고 각각 내용도 너무 어렵다. 자신의 능력 범위를 알아야 한다고 하는데 연구개발 분야들이 내가 이해를 잘 못하는 부분도 많다(사실 능력 범위 따지면 손댈 기업이 없는 거 같다. 소비재도 어렵더라. 나 뭐 하냐)

 

제품은 매출 규모를 잘 유지 중이기는 하나 대외적으로 당뇨약이 잘 갖춰진 제약사인 것처럼 보였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면 아직도 아마릴, 테넬리아가 메인이다. 지난 몇 년간 당뇨약의 새로운 계열 약물들이 많이 등장했는데 다른 제약사들과 달리 그런 라인업이 잘 안 갖춰진 거 같다. 너무 오래된 약들이다.

 

상품은 도입 픽 잘해서 열심히 하다가 결국 판권이 넘어간다.

한독이 잘못한 게 아니라 상대 계약 회사가 자기네들끼리 M&A하고 이래서 판권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판권 사 온 회사 전담 부서까지 만들어서 열심히 한 거 같은데 그 부서는 그럼 없어지나?

한독이 잘못해서 판권이 넘어가는 게 아니라 상대 회사의 사정 때문에 판권이 넘어간다면 더 구조적인 문제 같다.

 

신장질환 관련약들 라인업 확장하면서 심포지엄도 열고 그러는데 이거 또 이러다가 몇 년 후 판권이 넘어가는 건 아닌지 늘 걱정될 거 같다. 이래서 자사 약이 있어야 하는데 싶다. 특히 2023년에는 기존 매출 규모 상위권이던 상품 약물 대부분 판권이 넘어갔다. 물론 나간 만큼 새로 들어온 약들도 있지만 아직 보험 급여가 안 된 약도 있는데 그런 것도 한독이 다 고생해야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그래도 한독인데 시총 2000억은 싼 거 아니냐 싶었는데 차입금을 보면 이 가격이 싼가? 물음표다.

내 결론은 안 싸다는 것이다. 

3세 경영이 시작되나 본데 어떻게 회사가 변할까? 지켜보자.

일단 3월 블로그에 글 쓰는 것은 여기까지 하고 주말에 한독 정리 좀 하고 마무리하는 것으로 한다.

 

 

4월에는 뭐 하지?

 

 

한독 지난 공부  ↓ ↓ ↓  

 

2023.03.30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2022년, 2021년 기사 모음

 

한독 - 2022년, 2021년 기사 모음

[2022년 기사] 2022년 기사는 대부분 유통 및 판매 계약 관련된 내용이라 지난 글들에서 다루었다. 그 내용들은 다 생략한다. ▲ 2월 한독, 오너 3세 이사회 진입 예고 경영 승계 본격화 창업주 3세

todayhoney.tistory.com

 

 

2023.03.27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 1 HL2356 제넥신과 공동 개발하고 있는 HL2356(소아 및 성인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은 hybrid Fc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신약 프로젝트로 국내ㆍ외 시험 기관에서 임상 2상

todayhoney.tistory.com

 

 

2023.03.26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 한독 연구개발조직 R&D 조직은 R&D Center와 임상연구실, PV/CQ실, RA실 및 의학부로 구성되어 있고, ​ 의학부는 의학1실, 의학2실, MIR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R&D Center내의 신약개발연구실은

todayhoney.tistory.com

 

 

[2022년 기사]

 

2022년 기사는 대부분 유통 및 판매 계약 관련된 내용이라 지난 글들에서 다루었다.

그 내용들은 다 생략한다.

 

▲ 2월 한독, 오너 3세 이사회 진입 예고 경영 승계 본격화
창업주 3세 김동한 경영조정실 이사가 2022년 이사회에 진입

☞ 2022년 사업보고서

 

▲ 9월 훼스탈 슈퍼자임 출시
5중 복합 소화효소제로 훼스탈 라인업 확장
훼스탈은 1958년 국내 최초로 출시된 정제형 소화제로 60년이 넘게 장수하는 일반의약품이다.
1986년에는 소화력을 강화한 훼스탈 포르테
2000년에는 가스제거 성분을 보강한 훼스탈 플러스를 출시. 국내 판매 1위
편의점 전용 훼스탈 이름은 훼스탈 골드

 

▲ 6월 한독 퓨쳐 콤플렉스는 2021년 한독 직원을 대상으로 '네이밍 공모전'을 개최해 지어진 이름
'건강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건물'이라는 뜻의 지금 이름으로 최종 결정
아트리움, 피트니스센터, 임신부나 육아 중인 직원을 위한 엄마방, 카페테리아, 전신 안마시설 등

 

반응형

 

[2021년 기사]

 

▲ 1월 제넥신, 한독에 테라밸류즈 지분 풋옵션 행사

제넥신이 테라밸류즈(Theravalues)의 지분에 대해 한독을 상대로 풋옵션을 행사했다.
테라밸류즈는 2016년 한독이 인수한 일본 소재 기능성 원료 제조사
한독이 100억 제넥신에 준 듯.
이로서 한독이 테라밸류즈 지분 100%를 보유하게 된다.

☞ 2022년 사업보고서에도 여전히 100% 연결대상종속회사다.
2022년 실적은 매출 78억 당기순이익 13억으로 흑자 기업이다.
당시 제넥신이 자금 사정이 어려워 풋옵션을 행사했던 거 같다.

 

 

▲ 1월 디어젠과 AI 활용 신약개발
AI(인공지능) 신약개발 전문기업 디어젠의 플랫폼 DearDTI로 빠른 시간 안에 타깃 단백질에 대한 후보물질을 도출하면 한독은 해당 물질을 기반으로 추가 검증 연구를 진행하는 방식

 

 

▲ 1월 클리어틴 <여신강림> 드라마 제작 지원

☞ 안그래도 오늘 넷플릭스에서 드라마 1화 봤는데 여주인공이 여드름이 많게 나오더라.

 

 

▲ 3월 건강기능식품 네이처셋 리뉴얼 론칭
<How do you feel today?(오늘 하루 어땠어?)>란 브랜드 슬로건
네이처셋은 2011년 론칭한 한독의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다

 

 

지난 한독 공부 ↓ ↓ ↓

2023.03.29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2023년 기사 모음

 

한독 - 2023년 기사 모음

한독은 현재 커버하고 있는 애널리스트가 없는 거 같다. 자료를 찾아보면 2021년 보고서가 나온다. 그래서 보고서는 일단 패스하고 뉴스를 찾아본다. ​ ​ 2023년 기사 ​ ▲ 2023년 임원 인사 발표

todayhoney.tistory.com

 

2023.03.28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 내역 2 HL5101, HD-B001A

 

한독 - 연구개발 내역 2 HL5101, HD-B001A

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 2. HL5101 CMG 제약과 혁신신약으로 공동 개발 중인 HL5101(표적항암치료제)은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 과제에 선정되어 비임상 완료 후 임상 1상을 국내 네 개 기관에서 완

todayhoney.tistory.com

 

2023.03.27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 1 HL2356 제넥신과 공동 개발하고 있는 HL2356(소아 및 성인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은 hybrid Fc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신약 프로젝트로 국내ㆍ외 시험 기관에서 임상 2상

todayhoney.tistory.com

 

 

한독은 현재 커버하고 있는 애널리스트가 없는 거 같다.

자료를 찾아보면 2021년 보고서가 나온다.

그래서 보고서는 일단 패스하고

뉴스를 찾아본다.

2023년 기사

▲ 2023년 임원 인사 발표

상무보 ☞ 상무 승진(3명)

OTC&Healthcare 사업실 김미연

OTC&CH 영업실 김현민

RA실 이인경

이사 ☞ 상무보 승진(2명)

Medical Device & Life Science > 진단사업실 김용배

Medical Device & Life Science > Life Science실 나희영

실장 ☞ 이사 승진(1명)

General Medicine 프랜차이즈 > General Medicine Sales 종합병원영업실 장치현

팀장 ☞ 실장 승진(3명)

Medical Device & Life Science > Medical Device실 김경선

PV/CQ실 윤성민

재무실 이충훈

 

▲ 디지털 혁신을 위해 한국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 체결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로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내부 다양한 시스템과 외부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이를 비즈니스 및 업무 정확성과 효율성 개선 등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계획

▲ 사업개발실·신약개발연구실·임상연구실 모여 오픈이노베이션 TF 구성

▲ 사업개발실·신약개발연구실·임상연구실 모여 오픈이노베이션 TF 구성

▲ 김영진 회장 독일 의료기기 제조사의 한국법인인, '에펜도르프코리아' 사내이사에서 물러나 파트너십 약화 가능성 제기

에펜도르프코리아 지분도 모두 처분(김영진 회장 10% 한독의 최대주주이자 오너 회사인 와이앤에스인터내셔날이 10%)

에펜도르프 ?

1945년 설립된 독일 회사, 2011년 한국 법인 설립

연구소, 실험실용 기자재 등 프리미엄 의료기기 생산

반응형

▲ 케토톱 패키지 교체

ESG 경영의 하나로 종이 포장(카톤 박스)을 제거

시각장애인을 위한 QR코드를 삽입

음성 안내 설정을 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촬영하면 제품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준다.

이런 거 보면 케토톱이 롱런하는 데는 이유가 있네

▲ 담도암 치료제 'HDB001A' 식약처에 제2/3상 임상시험계획 신청

▲ 제약기업 2023년 신년 CEO 인터뷰 김영진 대표이사 회장

2023년 항암제 비즈니스를 본격화한다는 계획

2022년 11월 허가받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빅시오스를 출시하고, 인사이트의 페미가티닙과 타파시타맙 등의 허가를 진행할 계획

희귀 질환과 신경계질환 부문을 포함해 경쟁력 있는 신규 제품의 추가 도입을 검토 중으로, 그간 쌓아온 경쟁력을 바탕으로 희귀암 치료제 등을 신규 도입해 더욱 강화하겠다는 방침

 

 

지난 한독 공부 ↓ ↓ ↓  

 

2023.03.28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 내역 2 HL5101, HD-B001A

 

한독 - 연구개발 내역 2 HL5101, HD-B001A

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 2. HL5101 CMG 제약과 혁신신약으로 공동 개발 중인 HL5101(표적항암치료제)은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 과제에 선정되어 비임상 완료 후 임상 1상을 국내 네 개 기관에서 완

todayhoney.tistory.com

 

 

2023.03.27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 1 HL2356 제넥신과 공동 개발하고 있는 HL2356(소아 및 성인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은 hybrid Fc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신약 프로젝트로 국내ㆍ외 시험 기관에서 임상 2상

todayhoney.tistory.com

 

2023.03.26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 한독 연구개발조직 R&D 조직은 R&D Center와 임상연구실, PV/CQ실, RA실 및 의학부로 구성되어 있고, ​ 의학부는 의학1실, 의학2실, MIR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R&D Center내의 신약개발연구실은

todayhoney.tistory.com

 

 

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2. HL5101

CMG 제약과 혁신신약으로 공동 개발 중인 HL5101(표적항암치료제)은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 과제에 선정되어 비임상 완료 후 임상 1상을 국내 네 개 기관에서 완료하였고, 2021년 5월 AUM 바이오사이언스사에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적응증 표적항암치료제 

작용기전 Pan-TRK inhibitor

제품의 특성 신규 타겟인 NTRK gene fusion을 가진 cancer에 효과를 보이는 항암신약 

경쟁제품 Vitrakvi(Larotrectinib)

시장규모

TRK inhibitor 시장이 형성 중인 단계로써 현재는 시장 규모를 산정할 수 없음

반응형

한독에서 개발명은 HL5101

CMG 제약에서 개발명은 CHC2014

CMG제약 홈페이지 내용을 옮겨오면

Pan-TRK 저해 표적항암신약은 TRK 단백질군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의 항암치료제다. 

TRK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인체 항상성에 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TRK 유전자의 융합 (TRK gene fusion)을 일으키면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실제 TRK 유전자 융합은 다양한 암종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TRK 유전자 융합(TRK gene Fusion)에 의해 발생한 고형암은 TRK 단백질 활성을 억제하면 암의 종류, 연령, 성별, 인종에 관계없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해 암의 진행을 제어하는 효과를 보이게 된다. 

Pan-TRK 저해 표적항암신약은 이러한 TRK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억제해 TRK 유전자 융합(TRK gene Fusion)에 의해 발생한 고형암을 치료하는 기전으로, 선택된 단백질의 ATP 결합을 억제해 암 세포의 증식을 막는다.

특히 CHC2014는 기존 항암치료제에 대한 내성 유발 돌연변이에도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RK융합에 관련된 선행약물들이 약물 내성에 약화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CHC2014는 이러한 내성을 극복하는 효능을 보여줬다. 또한 선행약물의 경우 1일 2회 복용으로 허가됐다. 그러나 CHC2014는 약물이 조직에 분포되는 양과 머무르는 시간이 긴 특성 때문으로 1일 1회 복용으로도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볼 수 다는 장점이 있다.

RK 유전자군의 융합(TRK gene Fusion)은 암 유전자 변이의 한 종류로 갑성산암이나 담관암, 비소세포폐암, 대장암, 다형성 교모세포종 등 다양한 암의 유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암 환자 대비 TRK 유전자군의 융합 (TRK gene Fusion) 환자 발생률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최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등 최신 동반진단기술 발전 등으로 기존의 진단법으로 발견하지 못했던 다양한 암종내 TRK 유전자군의 융합 (TRK gene fusion)에 의한 암 진단율의 증가에 기인한다. 이는 보다 많은 암환자들이 Pan-TRK 저해 항암제로치료가 가능해졌다는 의미로 Pan-TRK 저해 항암제 시장규모의 급성장과 연관된다. 

또한 모든 표적항암제는 약물투약에 의한 내성이 발생하는데, Pan-TRK 저해 항암제(1세대 약물)에서도 약물 투약에 따른 내성이 보고되었다. CHC2014 는 이러한 약물 내성에도 좋은 효능을 보여 주어 1차 치료제에 대한 내성으로 인한 2차 치료제로서의 가능성도 있어 보다 더 많은 환자들에게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독 사업보고서에는 아직 시장 형성 단계 중으로 시장 규모를 산정할 수 없다고 나오는데 CMG제약 홈페이지에서는 좀 더 자세히 나온다.

비트랙비(Vitrakvi)와 로즐리트랙(Rozlytrek)이 시판 중이며, CHC2014를 포함한 3가지 신약이 개발되고 있다. 

시장규모는 2026년 약 11억불에서 2036년 36억 불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11억불 = 1조 4,300억 정도

36억 불 = 4조 6800억 정도

AUM Biosciences Pte Ltd와 기술이전 계약체결한 내용은 지난 3월 16일 주요 계약 라이선스 아웃 볼 때 봤으니까 넘어간다.

2023.03.16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주요계약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 CHC2014

 

한독 - 주요계약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 CHC2014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 활동 ​ 가. 라이선스 아웃(License-out) 계약 ​ CHC2014 ​ Pan-TRK 저해 표적항암신약 'CHC2014'에 대한 기술 이전 및 전략적 협업 계약 ​ 한독, CMG제약, AUM Biosciences Pte Ltd 3사가 체

todayhoney.tistory.com

 

3. HD-B001A

암세포의 신생혈관생성억제 작용기전을 가진 이중항체 항암제 HD-B001A에 대한 담도암 임상 2상 진행 중에 있습니다.

바이오 베터 : 이중항체 항암제

적응증 담도암

작용기전 암세포의 신생혈관생성을 억제

제품의 특성 이중항체 항암제로서 VEGF 와 DLL4를 동시에 억제하여 VEGF 내성 극복 및 강한 항암 활성을 기대함.

경쟁제품

VEGF 와 DLL4를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항체 항암제로는 OncXerna Therapeutics/Mereo BioPharma Group사에서 개발 중인 OMP-305B83 (Navicixizumab)와 AbbVie사에서 개발 중인 ABT-165 (Dilpacimab)가 있음. 

두 품목 모두 현재까지 시장에 출시되지 않았으며 임상 1상 또는 2상 진행중임.

시장규모 전 세계 담도암 시장은 2017년 기준 1억 6천8백만 달러 규모이며, 

2018년부터 2024년까지의 CAGR은 6.6%로 2024년 시장은 약 2억 6천2백만 달러 규모로 예상함)

2억6천2백만 달러 = 3,407억

한독은 에이비엘바이오와 라이선스 계약으로 HD-B001A의 한국 내 권리를 확보했다.

2023년 1월 ASCO에서 임상 2상 결과를 발표했다.


 

한독 재무제표를 볼 건데 내가 안 좋아하는 타입이다. 

순이익 적자 난 적도 없고

영업활동현금흐름도 플러스로 잘 들어온다. 

감가상각이 있으니 늘 순이익보다 많이 잘 들어온다.

손익계산서는 이런데 재무상태표로 넘어오면 그렇게 번 돈이 다 어디 갔을까?

현금이 쌓이지 않고 차입금만 늘어나고 있다. 

오늘은 매출채권만 살짝 봤다. 

3월 동안 매일 20분씩 한독을 보고 있는데 그 사이에 2022년 사업보고서가 나왔다.

매출채권은 사업보고서를 통해 봤다.

매출액 대비 매출채권 규모가 좀 있는 편이라 걱정하고 열어봤는데 

연체도 거의 없고 충당금도 거의 안 쌓네 제각된 해도 거의 없고 

 

지난 한독 공부 ↓ ↓ ↓  

 

2023.03.27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한독 - 연구개발 내역 1 HL2356(제넥신과 공동 개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지원)

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 1 HL2356 제넥신과 공동 개발하고 있는 HL2356(소아 및 성인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은 hybrid Fc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신약 프로젝트로 국내ㆍ외 시험 기관에서 임상 2상

todayhoney.tistory.com

 

2023.03.26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 한독 연구개발조직 R&D 조직은 R&D Center와 임상연구실, PV/CQ실, RA실 및 의학부로 구성되어 있고, ​ 의학부는 의학1실, 의학2실, MIR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R&D Center내의 신약개발연구실은

todayhoney.tistory.com

 

 

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1 HL2356

제넥신과 공동 개발하고 있는 HL2356(소아 및 성인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은 hybrid Fc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신약 프로젝트로 국내ㆍ외 시험 기관에서 임상 2상 연장 연구까지 종료 되었으며, 임상 3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베터(바이오 신약의 약효나 복용법을 개선)

뇌하수체 전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수용체와 결합하여 IGF-1을 발현시킴으로써 세포의 성장/재생에 관여. 지속형 hyFc 기술 기반으로 성인 및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 환자에서 안정성과 2주형 치료제로서 가능성 확인

경쟁 제품

1세대 hGH Biosimilar의 경우 TEVA(Tev-Tropin), LG(Valtropin), Sandoz(Omnitrope)가 출시되어 기존 제품인 Genotropin(Pfizer), Nutropin AQ(Genentech/Roche), Norditropin(Novo Nordisk), Saizen(Merck Serono) 등과 경쟁하고 있으나 시장 점유율이 낮고 아직까지 성공적으로 출시된 2세대 제품이 없음

시장규모

글로벌 성장호르몬은 약 35억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매년 약 4~5%의 증가가 예측됨 (Versartis, Prolor 발표 자료)

35억 달러는 한화로 4조 5000억 정도 

HL2356 제넥신 IR 자료에 없어서 찾아 보니 제넥신에게는 연구개발명이 GX-H9로 표시된다. 

아래 사진은 제넥신 IR 자료다.

한독 – 제넥신과 공동개발 중인 HL2356(GX-H9) 제넥신의 IR자료
한독 – 제넥신과 공동개발 중인 HL2356(GX-H9) 제넥신의 IR자료
한독 – 제넥신과 공동개발 중인 HL2356(GX-H9) 제넥신의 IR자료
한독 – 제넥신과 공동개발 중인 HL2356(GX-H9) 제넥신의 IR자료
한독 – 제넥신과 공동개발 중인 HL2356(GX-H9) 제넥신의 IR자료
한독 – 제넥신과 공동개발 중인 HL2356(GX-H9) 제넥신의 IR자료

 

바이오베터라고 하는 걸로 봐서 기존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 대비 장점이 있다고 하는데 뭘까?

지속성을 늘려 투여 횟수를 줄였다고 한다.

일주일에 1번 또는 이주일에 1번 투여로 임상 중이다.

사업보고서에 기존 제품이라고 나오는 화이자의 지노트로핀, 노보 노디스크의 노디트로핀을 검색해 보니 1일 1회 투여다. 

1일 1회에서 일주일에 1회로 투여 간격이 길어지면 경쟁력 확실하겠다.

 

반응형

 

hybrid Fc 기술은 또 뭘까?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통해 제넥신 김태경 상무님이 발표하신 자료 속 그림이다.

 

제넥신의 hybrid FC 기술
제넥신의 hybrid FC 기술

 

항체 Y자 윗 부분은 메인 약효를 나타내는 부분 (성장호르몬)

아랫 부분이 hyFc 기술 플랫폼을 말하는 것으로 

1 hinge를 유연하게 해서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는 IgD

2 그 아래는 반감기를 늘려주는 IgG4를 융합한 것이다. 

윗부분에 원하는 효과를 넣고 아래 hyFc 도메인이 있으면 

위 효과가 오래 지속되도록 한다. 

지금 보고 있는 성인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 HL2356뿐 아니라 제넥신은 GX-I7(면역항암제 후보물질)도 이 hybrid Fc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 중이다.

제넥신은 다른 회사 이야기니까 너무 길게 하지 말자 싶었는데

생각해 보니 남도 아니다.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지난 한독 공부 ↓ ↓ ↓  

 

2023.03.26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한독 - 연구개발조직, 연구개발비용,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내역

◎ 한독 연구개발조직 R&D 조직은 R&D Center와 임상연구실, PV/CQ실, RA실 및 의학부로 구성되어 있고, ​ 의학부는 의학1실, 의학2실, MIR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R&D Center내의 신약개발연구실은

todayhoney.tistory.com

 

2023.03.25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7 (렌벨라, 페미가티닙, 타파시타맙, 에너제어, 어택트라, 온브리즈, 조터나)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7 (렌벨라, 페미가티닙, 타파시타맙, 에너제어, 어택트라

19. 렌벨라 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 신장질환 환자의 혈청 인 조절 치료제 렌벨라의 국내 유통/판매/프로모션 계약 ​ 성분명: Sevelamer Carbonate 세벨라머탄산염 기전: 장관 내에서 인산과 결합하여

todayhoney.tistory.com

 

2023.03.24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6 (빅시오스, 미쎄라)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6 (빅시오스, 미쎄라)

17. 빅시오스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빅시오스의 국내 유통 계약 ​ 성분명: daunorubicin 다우노루비신, cytarabine 시타라빈 기전: daunorubicin 다우노루비신 DNA 염기쌍 사이에 끼어들거나 입체장애

todayhoney.tistory.com

 

 

◎ 한독 연구개발조직

 

한독 연구개발조직도
한독 연구개발조직도

 

R&D 조직은 R&D Center와 임상연구실, PV/CQ실, RA실 및 의학부로 구성되어 있고, 

의학부는 의학1실, 의학2실, MIR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R&D Center내의 

신약개발연구실은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통한 혁신적 제약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 회사 발굴(타겟 발굴 및 질환군 선정) 및 자체 연구를 통해 혁신 신약 개발을 수행하고 있고, 

제품개발연구실에서는 DRM(Dual Release Micro-coating) technology 등을 이용한 당뇨 복합제 개발을 비롯하여 훼스탈 신제품 연구 및 케토톱의 해외 수출을 위한 제제 개선 및 새로운 적응증을 포함한 경피흡수 제제 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젝트는 임상연구실에서 임상시험개발 전략 및 계획을 수립 하고 임상시험을 수행하며, 

RA실에서 허가 업무를 진행하여 허가 획득을 하고 있으며, 

의학부에서는 post-marketing study 및 제품과 관련된 안전성 정보를 수집, 평가,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부서명과 담당업무

  • R&D Center (중앙연구소)

제품개발연구실, 신약개발연구실, 연구기획/관리팀 총괄

  • 연구기획/관리팀 

R&D Center 프로젝트 모니터링, 예산 및 국책과제 예산 관리, R&D 연구 지원 및 행정 업무 진행

  • 제품개발연구실

혁신신약 및 개량신약 연구개발, 제제연구 및 분석연구

Global 수출제품 개발, 기능성 소재, 건강기능식품, Platform tech. 개발, 일반의약품 신제품 개발

  • 신약개발연구실

혁신신약 연구개발, 신규 타깃 탐색, 선도물질 발견 및 최적화, 전임상 연구개발, 독성, DMPK 연구 개발, Open Innovation

  • 임상연구실

신제품 개발과 관련한 임상시험개발 전략 및 계획 수립, 연구계획서 및 보고서 작성.

1상~3상 임상시험 및 4상, PMS, 기타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 계획 및 수행

  • PV/CQ실

제품과 관련된 안전성 정보를 수집, 평가, 관리하고, 임상연구 및 Pharmacovigilance 관련 활동/업무들이 국내외 규정을 준수하며 이들 활동 자체 및 활동을 통해 생성된 data의 quality가 유지 될 수 있도록 함

  • RA실

의약품 등의 허가를 획득ㆍ유지, 신규제품 도입/영업ㆍ마케팅/생산 등 전 분야에 걸쳐 적절한 약사법적인 Compliance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언 및 자문

  • 의학부

의학실, MS팀 총괄

  • 의학1실

MSL(당뇨, 비뇨기, 골다공증, 호흡기 등의general medicine) 부서의medico marketing 관련 업무 및MIR 업무 담당, 연구자 주도 연구 관리, 학회 운영지원 및 참가지원, 테라큐민 project 관리

  • 의학2실

MSL(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veno-occlusive disease, Fabry disease, Dementia, Epilepsy 등)의 medico marketing 관련 업무 담당 및 patient support program 운영, 연구자 주도 연구 관리, 학회 운영 지원 및 참가 지원

  • MIR팀 

제품과 관련한 내외부의 의학적 문의(Medical Inquiry)에 대응한 정보제공 업무(Medical Information Service) 및 제품/질환 관련 광고선전물에 대한 검토 및 관리업무(Promotional Material Review), 뉴스레터 발간을 통해 내부직원대상으로 제품 및 질환관련 의약학 소식 전달

반응형

 

◎ 연구개발비용

그동안 계속 판관비로 비용 처리했는데 2022년 자산화한 금액이 72억 있다!

뭘까?

 

한독 연구 개발 비용 내역
한독 연구 개발 비용 내역

 

무형자산 내역에 가서 보니 기타의 무형자산 항목이 75억 늘었다.

여기에 개발비가 포함된다.

 

한독 2023년 사업보고서 무형자산 내억
한독 2023년 사업보고서 무형자산 내억

 

 

한독 개발비로 자산화되어 있는 프로젝트 내역
한독 개발비로 자산화되어 있는 프로젝트 내역

 

(*1) 중증 아토피 피부염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치료제로써 SCM 생명과학과 공동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당 금액은 SCM 생명과학에 지급한 Upfront 비용.

(*2) 관절치료제로써 러시아에서 3상임상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임상시험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향후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3) 당뇨치료제로써 3상임상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임상시험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향후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4) 고혈압치료제로써 3상임상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임상시험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향후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5) 면역 미세환경을 조절하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로써 스파크 바이오파마와 공동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당 금액은 스파크바이오파마에 지급한 Upfront 비용입니다.

임상 3상 성공 가능성이 높으면 개발비를 자산화하는구나.

 

 

지난 한독 공부 ↓ ↓ ↓  

 

2023.03.25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7 (렌벨라, 페미가티닙, 타파시타맙, 에너제어, 어택트라, 온브리즈, 조터나)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7 (렌벨라, 페미가티닙, 타파시타맙, 에너제어, 어택트라

19. 렌벨라 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 신장질환 환자의 혈청 인 조절 치료제 렌벨라의 국내 유통/판매/프로모션 계약 ​ 성분명: Sevelamer Carbonate 세벨라머탄산염 기전: 장관 내에서 인산과 결합하여

todayhoney.tistory.com

 

2023.03.24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6 (빅시오스, 미쎄라)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6 (빅시오스, 미쎄라)

17. 빅시오스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빅시오스의 국내 유통 계약 ​ 성분명: daunorubicin 다우노루비신, cytarabine 시타라빈 기전: daunorubicin 다우노루비신 DNA 염기쌍 사이에 끼어들거나 입체장애

todayhoney.tistory.com

 

2023.03.23 - [한 달에 한 기업 공부] -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5 (루리드 F, 미오날, 가디언커넥트, 아이프로2, 미니메드 770G, SGTi-Allergy Screen)

 

한독 - 유통 및 판매 계약 내용 알아보기 5 (루리드 F, 미오날, 가디언커넥트, 아이프로2, 미니메드

13. 루리드 F 루리드 F 유통 계약 ​ 성분명: Roxithromycin 록시트로마이신 기전: 항생제. 70S 리보솜의 50S subunit에 결합하여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는 Macrolide계 항생제 ​ 계약 상대방: 사노피

todayhoney.tistory.com

 

 

+ Recent posts